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한·중·일 정상회의 공동선언 초안에 '한반도 완전 비핵화 목표'"

입력 2024-05-25 11:12 수정 2024-05-25 16:23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지난해 9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열린 아세안+3(한·중·일) 정상회의. 리창 중국 총리(왼쪽), 윤석열 대통령(가운데),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오른쪽). 〈사진=연합뉴스〉

지난해 9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열린 아세안+3(한·중·일) 정상회의. 리창 중국 총리(왼쪽), 윤석열 대통령(가운데),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오른쪽). 〈사진=연합뉴스〉


내일(26일)부터 이틀간 서울에서 열릴 한·중·일 정상회의에서 채택할 공동선언 초안에 '한반도 완전 비핵화' 내용이 담겼다고 일본 현지 매체가 보도했습니다.

현지시간 25일 일본 요미우리신문에 따르면 한·중·일 정상회의 공동선언 초안에는 '한반도 비핵화 실현을 위해 대화와 외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이행이 중요하다'는 내용이 담겼습니다.

국제질서와 관련해서 '힘 또는 위압에 따른 일방적 현상 변경 시도는 받아들일 수 없다는 인식을 3국이 공유하고, 국제법과 국가 간 합의에 기초한 의무 준수 중요성을 확인'하기로 했습니다.

경제협력과 무역 분야에 대해서는 '규범에 근거해 개방적이고 공정한 국제 경제 질서 유지·강화에 공동 책임이 있다'는 점도 언급됐습니다.

'2022년 7700억 달러(우리돈 약 1000조 원)였던 한·중·일 3국 간 무역 규모를 앞으로 몇 년 내 1조 달러(우리돈 약 1370조 원)로 늘린다'는 목표도 제시됐습니다.

또 '한·중·일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을 위한 협의 가속 방침'과 '3국 정상과 장관이 참여하는 정기회의 개최 필요성'에 대한 내용도 담겼습니다.

이번 공동선언은 오는 27일 정상회의에 맞춰 발표될 예정입니다.

요미우리신문은 "3국 실무자가 초안을 바탕으로 막바지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며 "다만 중국이 '일방적 현상 변경 시도'에 반발해 조율이 어려울 수도 있다"고 내다봤습니다.

이는 중국이 공동선언에서 한반도 비핵화와 북한 문제에 대한 유엔 안보리 결의 이행 언급을 반대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한편 내일(26일)부터 서울에서 한·중·일 정상회의가 이틀 동안 열립니다. 3국 정상이 모두 만나는 회의는 둘째 날인 모레 개최될 예정입니다.

이번 3국 정상회의는 2019년 12월 중국에서 8차 회의가 열린 뒤 4년 5개월 만에 열리는 것입니다.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