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환자단체 "환자 불안 도구로 정부 압박…당장 휴진 철회해야"

입력 2024-06-17 11:11 수정 2024-06-17 11:11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서울대병원 교수들이 17일부터 무기한 휴진에 들어가는 가운데, 환자단체가 집단 휴진 철회를 촉구했다. 〈사진=연합뉴스〉

서울대병원 교수들이 17일부터 무기한 휴진에 들어가는 가운데, 환자단체가 집단 휴진 철회를 촉구했다. 〈사진=연합뉴스〉

서울대병원 교수들이 오늘(17일)부터 무기한 휴진에 들어가는 가운데, 환자 단체는 "환자의 불안을 도구로 정부를 압박하고 있다"면서 집단 휴진 철회를 촉구했습니다.

한국환자단체연합회는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무기한 전체 휴진'이라는 선택을 꼭 했어야 하는지 이해하기 어렵다"면서 "정부를 압박하는 도구가 환자의 불안과 피해라면 그 어떤 이유도 명분도 정당화될 수 없다"고 비판했습니다.

환단연은 "전공의 9000여 명이 4개월 이상 의료현장을 이탈한 상황에서 의대 교수마저 무기한 전체 휴진에 돌입하면 의료공백으로 인한 환자 불안과 피해는 더욱 커지고 환자 안전도 더욱 악화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앞서 서울의대 비대위는 집단 휴진을 앞두고 "외래 진료와 수술을 중단할 뿐"이라며 "응급실과 중환자실, 입원실, 그리고 치료를 미룰 수 없는 진료 등의 필수 기능에 인력을 보충해 투입할 테니 환자분들께 피해가 가지는 않을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습니다.

환단연은 이에 대해 "비응급이나 중등도 환자는 불안과 피해를 겪어도 된다는 의미냐"며 "왜 환자들이 의료계와 정부의 극단적인 대립 속에서 피해를 봐야 하냐"고 반문했습니다.

전날 의사협회가 정부에 '의대 증원 재논의' 등을 요구한 것과 관련해 환단연은 "의협의 원점 재논의 요구는 '증원 원천 반대'를 의미하는 것과 다름없다"며 "의협의 3대 요구안 내용 및 집단 휴진 강행 여부 결정 방법은 환자들의 치료와 안전에 대한 고려가 일절 없음을 여실히 보여주었다"고 지적했습니다.

환단연은 "의협과 서울의대 비대위의 집단 휴진 및 무기한 전체 휴진 강행 방침을 규탄하고 당장 휴진 결정을 철회할 것을 촉구한다"면서 "환자는 아무런 잘못이 없다"고 호소했습니다.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