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월클뉴스] 의사당 청소하던 앤디 김, 미 '권력 100인' 도전

입력 2024-06-05 17:55 수정 2024-06-05 18:04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현지시간 4일 미국 뉴저지 민주당 상원의원 후보로 선출된 앤디 김 의원. (출처=연합뉴스)

현지시간 4일 미국 뉴저지 민주당 상원의원 후보로 선출된 앤디 김 의원. (출처=연합뉴스)


앤디 김, 한 번쯤은 들어보셨을법한 한국계 미국 정치인입니다. 현지시간 4일, 3선 하원의원인 김 의원이 미국 뉴저지주 연방 상원의원 선거에 나설 민주당 후보로 선출됐습니다. 2018년에 워싱턴에 입성해 6년 만에 상원의원으로 가는 첫 관문을 넘은 셈입니다. 오는 11월 본선에서 승리한다면, 처음으로 미 연방 상원에 진출하는 한국계 미국인이 됩니다. 앤디 김은 올해 41살, 보스턴에서 태어나 뉴저지에서 학창시절을 보냈습니다. 시카고 대학을 졸업하고.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국제관계학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약 50년 전 한국인 부모가 미국으로 이주한 '이민 2세대'입니다. 중국계 미국인인 부인과 함께 두 아들을 키우고 있습니다.
 
가족과 함께 후보로 선출된 기쁨을 나누고 있는 앤디 김 의원. (출처=앤디 김 트위터)

가족과 함께 후보로 선출된 기쁨을 나누고 있는 앤디 김 의원. (출처=앤디 김 트위터)


[의사당 청소가 '결정적 장면'..."할 일 하는 정치인"]

미국은 각 주당 2명의 상원의원을 직접선거로 뽑습니다. 50개주, 각 2명이니 총 100명이죠. 이 100명의 힘은 막강합니다. 각 주의 대표 자격을 가진 만큼 하원의원에겐 없는 군대 파병, 관료 임명 등에 대한 권한을 갖고 있습니다. 미국 NBC는 앤디 김의 당선은 뉴저지에서 아시아계 미국인 그룹이 커지고 있다는 점과 연관이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뉴저지 전체 인구의 11%가 아시아계 미국인임에도 불구하고 이들이 "수년간 뉴저지의 아시아계 미국인들은 정치 시스템이 자신들을 위한 것으로 느끼지 못했다"고 했습니다. 하지만 최근 몇 년간 미국 사회에서 아시아에 대한 혐오가 커지면서 정치 참여의 필요성을 느끼기 시작했고, 때마침 앤디 김이라는 정치인이 등장했다는 것입니다.
 
2021년 1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지지 시위대가 휩쓸고 지나간 의사당 건물 내부를 정리하는 앤디 김 의원. (출처=연합뉴스)

2021년 1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지지 시위대가 휩쓸고 지나간 의사당 건물 내부를 정리하는 앤디 김 의원. (출처=연합뉴스)


또 하나, 앤디 김에 주목하게 된 '결정적 장면'이 있습니다. 2021년 1월 트럼프 대통령 지지자들이 미국 대선 부정선거 음모론을 주장하며 국회의사당을 습격한 일이 있었습니다. 그때 김 의원이 의사당에 남아 쓰레기를 치우며 뒷정리를 하는 모습이 동료 의원과 취재진에 포착된 겁니다. 사진이 소셜미디어를 통해 퍼지면서 기존의 정치인과는 다른 모습이 주목을 받기 시작했습니다. 당시 김 의원은 "누구든 좋아하는 것이 망가지면 고치고 싶지 않겠냐"라고 말했습니다. 한 뉴저지 유권자는 NBC와의 인터뷰에서 "그 행동은 '단상에서 소리를 지르는 대신, 나는 진짜 할 일을 시작한다'는 것을 보여줬다"고 말했습니다.

[당선 가능성 높아....주한미군 철수는 반대 입장]

뉴저지는 '민주당 텃밭'으로 꼽히는 곳입니다. 1972년 이후 민주당이 공화당에 연방 상원의원 자리를 내준 적은 한 번도 없습니다. 그래서 '민주당 후보=당선'이 지금까지의 공식입니다. 김 의원의 당선 여부는 현재 뇌물을 받은 혐의로 재판을 받는 밥 메넨데스 의원의 결정이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그가 무죄를 호소하며 무소속 출마 가능성을 열어뒀기 때문입니다. 뉴욕타임스는 "메넨데스 의원이 출마할 경우 민주당의 표심을 분산시켜 공화당에 힘을 실어줄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김 의원의 당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가 미국 '권력 100인'에 들어간다면 어떻게 될까. 앤디 김은 외교안보 전문가입니다. 버락 오바마 행정부 시절 국방부와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에서 이라크 담당 보좌관을 지냈고, 의회에 입성한 뒤로는 군사위원회에서 일했습니다. 김 의원은 그간 한국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만일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재집권해 주한미군을 철수하려는 상황이 올 경우 적극적으로 저지할 것이라는 입장을 표명했습니다.


김혜미 기자 create@jtbc.co.kr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