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전국 지자체 '탄소중립 선언'…버려지는 전기 없게 하려면?

입력 2021-05-24 20:53 수정 2021-05-25 15:36

풍력·태양광 전기, '생산' 이후가 더 중요한 이유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풍력·태양광 전기, '생산' 이후가 더 중요한 이유

[앵커]

조금 전에 전국의 광역시도와 기초단체 243곳, 그러니까 모든 지방자치단체가 '탄소 중립'을 선언했습니다. 탄소 중립은 이산화탄소를 다시 흡수할 수 있는 만큼만 배출해서 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걸 말합니다. 모든 지자체가 이렇게 탄소 중립을 선언한 건 세계에서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그 방법으론 재생 에너지를 확대하는 걸 꼽고 있지만, 그저 풍력이나 태양광발전기를 설치하는 것만으론 충분치가 않습니다.

왜 그런지, 기후 변화 분야를 집중적으로 취재하고 있는 박상욱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파란 바다에 파도가 칩니다.

그곳에 풍력발전기가 있습니다.

날개가 돌아가며 전기를 만듭니다.

제주 전역에 123기가 있습니다.

넓은 초원에 패널이 줄지어 서 있습니다.

태양의 빛에너지를 전기로 만드는 겁니다.

제주에서는 이렇게 풍력과 태양광 등 친환경 재생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중이 낮 시간 전체 전력 사용량의 50%를 넘습니다.

지난 2006년, 사상 최악의 '블랙아웃'을 겪으면서 '에너지 자립'에 대한 공감대가 커진 탓 입니다.

발전 사업에서 나오는 이익을 주민들과 공유한 것도 주효했습니다.

[김미영/제주도 저탄소정책과장 : 지금 여기가 30㎿ 규모의 해상풍력인데 주민들 수용성이 굉장히 우수하고, 주민 요구가 있어서 앞으로 한 100㎿ 정도, 3배 정도 더 확장할 계획입니다.]

문제는 버려지는 전력도 많다는 겁니다.

지난해에만 풍력발전기는 77번이나 강제로 멈췄습니다.

약 2천 명이 1년 동안 쓸 수 있는, 30억 원어치의 전기가 버려졌습니다.

올해 1분기엔 벌써 37번이나 멈췄습니다.

모두 전력이 남아서 생기는 일 입니다.

궁극적으로 친환경재생에너지로만 모든 전기 사용량을 감당하려면 이렇게 버려지는 전기가 없어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 우선 대규모 배터리팩 등을 이용해 만든 전기를 저장할 수 있어야 합니다.

전력이 남을 때는 모아뒀다가 부족할 때 꺼내 쓸 수 있게 해야합니다.

남은 전기를 활용해 수소를 만드는 것도 방법 입니다.

그 전기로 물을 전기분해해 수소로 보관하면 필요할 때 다시 전기로 바꿀 수도, 수소차에 주입할 수도 있습니다.

수입산 LNG에서 추출한 수소가 아닌 진짜 '그린 수소'입니다.

[원희룡/제주지사 : 지금은 풍력발전으로 전기를 생산해도 한국전력이 (생산된 전기를) 독점적으로 사야 하는 시장 구조거든요. (전기의) 저장과 판매에 있어서의 혁신이 있어야만 이런 출력제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죠.]

지자체와 정부, 한전과 각 발전사가 함께 제도 개선에 나서지 않는다면 버려지는 전기는 전국 각지에서 넘쳐날 수밖에 없습니다.

(영상디자인 : 조성혜·김윤나 / 영상그래픽 : 박경민)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