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서울 백화점 등 30곳 집중점검-경기 선제검사 대상 확대

입력 2021-03-16 11:29 수정 2021-03-16 15:42

정부, 수도권 특별방역강화대책 시행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정부, 수도권 특별방역강화대책 시행

서울 백화점 등 30곳 집중점검-경기 선제검사 대상 확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수도권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함에 따라 서울시는 이달 시내 공원, 백화점, 시장 등 30곳에 대해 방역 점검을 시행한다.

경기도는 시설 내 집단감염을 차단하기 위해 주기적 선제검사 대상을 어린이집·유치원 종사자, 산후조리원 종사자 등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16일 이 같은 내용의 수도권 특별방역대책을 발표했다.

이날 회의에는 서울, 경기지역 기초지방자치단체장까지 참여해 방역대책을 논의했다.

최근 일평균 신규 확진자 400명 가운데 70∼80%(300명대)가 수도권에서 나오는 상황에서 봄철 인구 이동이 늘면서 사람이 몰리는 다중이용시설을 중심으로 확산세가 거세질 가능성이 커지자 대책을 마련했다.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이날 온라인 브리핑에서 "수도권 유행 통제가 전국의 유행을 감소시키기 위한 핵심과제"라면서 "3차 유행의 재확산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수도권 환자 수를 2주 내 200명대 수준으로 억제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 서울시, 백화점·시장 등 집중관리…새 학기 학원, 독서실도 점검

서울시는 봄철 시민이 몰리는 공원·유원시설과 백화점·쇼핑몰, 도매·소매시장 가운데 밀집시설 30곳을 지정해 17일부터 31일까지 집중 관리한다.

각 자치구 부서장을 시설별 책임관으로 지정해 매장 내 줄서기와 휴식 시간 종업원 담소 방지 등 시설 특성에 맞는 방역관리 수칙에 대해 행정지도를 하고 주말에는 시·구 합동점검에 나선다.

중대본은 최근 방역상황이 논란이 된 영등포구 백화점 '더현대서울'에서 시행한 보완 조치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이 백화점은 주말 사람이 몰리는 매장의 이용 고객 수를 30% 수준으로 제한하고 있고 주말 2부제, 무료 주차 혜택 중지 등을 통해 방문 차량 수를 줄였다.

또 실내 환기 횟수는 6회에서 12회로 2배 늘렸고 승강기 탑승 인원도 40%로 제한하는 한편 예약제 운영, 대규모 판촉 행사 중단, 방문객 혼잡상황 실시간 안내를 통해 밀집도를 완화하고 있다.

서울시는 새 학기를 맞아 학원, 교습소, 스터디카페, 독서실 등 837곳에 대해서 19일까지 현장점검을 시행한다.

또 그동안 방역 위반 신고가 반복됐던 업소 441곳에 대해서는 6개(총 55명) 신속대응팀이 매주 2회 현장점검을 실시해, 위반사항에 대해 즉각 행정조치를 내린다.

서울시는 사우나 등 목욕장업에 대해선 820곳 중 445곳에 대해 표본검사를 실시해 왔는데, 이를 전체 업체로 확대할 예정이다.

◇ 경기도, 목욕업장 대상 전자출입명부 의무화…다중시설 불시점검도

경기도는 28일까지 집단감염에 취약한 고위험사업장과 다중이용시설 등을 대상으로 불시 점검을 시행해 마스크 착용 여부 등 방역수칙 준수 현황을 확인한다.

경기도는 또 신속하고 정확한 역학조사를 위해 목욕장업에 대해 전자출입명부를 사용하도록 의무화하기로 했다.

현재 유흥시설 5종과 홀덤펍에 대해서만 전자출입명부가 의무화돼 있고 목욕장업에선 수기 명부를 작성할 수 있는데 목욕장업에 대한 방역 조치를 강화한 것이다.

경기도는 또 집단감염을 막고 '4차 유행'을 억제하기 위해 전수 검사 대상을 확대한다.

사회적 거리두기가 2단계 이상인 경우 어린이집·유치원·산후조리원 종사자, 축산물·육가공업 종사자, 건설 현장 종사자, 체육시설 종사자에 대해서도 격주 1회씩 선제적으로 검사를 시행한다.

현재 주기검사 대상인 요양·정신병원 종사자, 양로시설 및 중증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 노숙인 시설 종사자, 한방병원 및 재활병원 종사자에 선제 검사 대상이 추가되는 셈이다.

경기도는 또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라 시군 보건소에서 검체채취 인력과 행정지원 인력을 채용할 때 인건비를 지원키로 했다.

한편 중대본에 따르면 현재 전체 확진자 중 30∼40%는 사업장과 다중이용시설, 의료기관 등에서 발생하고 있다.

2∼3월 현황을 보면, 유증상자가 이런 시설을 찾으면서 시작된 것으로 보이는 수도권 집단감염 확진 사례가 23%(3천606명 중 834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밖에 2월 이후 수도권 주요 집단감염의 주요 위험요인은 시설 내 장기 체류, 과밀 환경 관리 미흡, 마스크 미착용 등이었다.

(연합뉴스)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