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임대주택 반대' 입장 여전…마포구청장 단식 항의까지

입력 2020-08-18 09:28 수정 2020-08-18 11:18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앵커]

지난 4일 부동산 대책 발표에서 새로 집을 짓기로 한 지역의 단체장들이 반대 입장을 굽히지 않고 있습니다. 모두 여당 소속이고 단식에 들어간 단체장도 있습니다. 내세우는 논리는 조금씩 다르지만 그 안에는 임대주택을 줄이거나 짓지 말라는 주장이 담겨 있습니다.

안태훈 기자입니다.

[기자]

[정청래/더불어민주당 의원 (서울 마포을) : 구민들의 뜻을 받들겠습니까? 거부하겠습니까? (받들겠습니다.) 단식 중단하겠다고 합니다.]

서울 상암동에 6000여 가구를 짓는 계획에 반대하며 단식에 들어갔던 마포구청장이 갑자기 단식 중단을 선언했습니다.

코로나19 등 다른 현안도 챙기라는 지역민의 요구가 크다는 이유입니다.

하지만 임대주택을 비롯한 대규모 주택 공급을 반대하는 입장은 달라진 게 없습니다.

[유동균/서울 마포구청장 : 상암동에 6200세대의 주택이 (추가로) 들어서면 교통·교육·환경 모든 문제가 표출될 것입니다.]

노원구청장도 태릉골프장에 1만가구를 짓기로 한 계획에 반대하며 마포구청장과 비슷한 주장를 하고 있습니다.

임대주택 비율을 낮추고, 품격 높은 주거단지를 조성해야 한다는 겁니다.

용산구청장은 용산정비창에 국제업무지구 계획을 원래대로 추진하는 한편 양질의 주택을 지을 것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과천시장은 아예 정부의 주택공급 철회를 요구하며 2주째 임시 천막에서 집무를 보고 있습니다.

이들 단체장은 모두 여당인 더불어민주당 소속입니다.

'품격 높은 주거단지', '양질의 주택' 등 표현은 다르지만, 공통점은 임대주택을 많이 짓는 걸 반대한다는 겁니다.

선출직 단체장이 주민 여론을 반영하는 건 당연하지만, 지나친 반대는 지역 이기주의로 비칠 수 있다는 지적입니다.

관련기사

여, 행정수도 '특별법' 발의 가닥…연내 처리 로드맵도 부동산 카페·유튜브도 타깃…시장 교란행위 집중단속 '인서울 내집마련' 포기한 3040…이렇게 '전세난민'이 됐다 투기 감시→처벌까지 '속도전'…'풍선효과' 차단 기대 금감원처럼 '부동산감독원'…투기 감시 독립기구 구상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