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중국, 김정은 집권 후 첫 식량지원…3차례 '방중' 화답?

입력 2019-05-18 20:56 수정 2019-05-19 00:47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앵커]

지난해 중국이 김정은 위원장 집권 후 7년 만에 처음으로 쌀을 무상지원한 것으로 취재 결과 확인됐습니다. 김 위원장이 세 차례 김 위원장이 세 차례 중국을 찾았던 것에 대한 선물 성격으로 보인다는 분석도 나오는데, 여기에 16만여t의 질소비료도 지원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그만큼 북한의 농작물 상황이 좋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베이징에서 신경진 특파원입니다.

[기자]

지난해 3월 북·중 첫 정상회담이 열렸습니다.

회담은 5월과 6월 다롄, 베이징에서 계속됐습니다.

이후 중국은 북한에 우리돈으로 667억원 상당의 쌀과 비료를 지원했습니다.

쌀 무상지원은 김 위원장 집권 후 처음입니다.

관세청 격인 중국 해관총서의 북중 무역 통계자료입니다.

지난해 5월부터 10월까지 질소비료 16만 2000t, 655억원 어치를 지원했습니다.

7월에는 12억 원 상당의 쌀 1000t을 무상지원한 것으로 기재했습니다.

대북 무상지원은 김정일 사망 후 2012년부터 체제 안정을 위해 옥수수 등 1억2310만 달러 물품을 지원한 이래 급감했습니다.

유엔 제재가 강화된 2017년에는 지원이 없었습니다.

전문가들은 중국이 무상지원 품목으로 쌀과 비료를 선택한 데 주목했습니다.

특히 지난해 비료 지원은 2012년의 약 4배 규모로 북한이 곡물수급과 작황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측은 분석했습니다.

베이징 외교가는 올해 추진되는 시진핑 주석의 북한 방문을 전후해 무상지원 규모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영상디자인 : 곽세미·김윤나)

관련기사

'인도적 지원' 발표 다음날…북한 "눈치 보지 마라" 북 매체 "인도주의 생색내기 그만"…'식량지원' 첫 반응 정부, 북 식량지원 본격 추진…트럼프도 '인도적' 지지 홍수·가뭄에 '식량사정 최악'…북 농촌 현지 영상 입수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