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말 바꾸기' 군함도 때 겪어놓고…"어음 아닌 현찰 받아낸 것"

입력 2024-07-29 18:58 수정 2024-07-29 21:08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앵커]

일본은 과거 군함도가 세계유산에 등재될 때도 '조선인 강제노역을 알리겠다'고 약속해놓고 바로 말을 바꾼 바 있습니다. 그런데도 외교부는 이번에 일본으로부터 전시와 추도식 등을 받아냈다며, 어음이 아닌 현찰을 받아낸 거라고 강조했습니다.

윤샘이나 기자입니다.

[기자]

9년 전 '군함도'가 세계유산에 등재될 당시 일본은 국제사회에 이렇게 약속했습니다.

[사토 구니/전 주유네스코 일본 대사 (2015년) : 한국인을 비롯한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의지에 반해 끌려와 가혹한 노동을 강요당한 것을 (알리는 조치를 취할 것입니다.)]

당시엔 '강제성' 표현이 있었지만 이마저도 말은 금세 바뀌었습니다.

조선인을 강제로 끌고 간 사실이 없다며 강제동원을 부정한 겁니다.

이번엔 아예 강제성에 대한 언급조차 없었습니다.

[가노 다케히로/주유네스코 일본 대사 (지난 27일) :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채택된 모든 결정과 일본의 약속들을 명심할 것입니다. 한반도 출신을 포함한 모든 사도광산의 노동자를 추모합니다.]

결정문에는 '한반도 출신 노동자'라고 되어있는데 이는 일본 정부가 '강제 징용'이라는 의미를 부정하면서 사용하기 시작한 용어입니다.

'강제동원' 관련 표현을 쓰지 않기로 한일 정부가 사전 협의했다는 일본 언론 보도에 우리 정부가 반박하면서 2015년 위안부 합의 때와 닮은 꼴이라는 지적도 나옵니다.

반면 우리 외교부는 "2015년 합의는 무효라는 식으로 나왔던 일본을 상대로 '명심하겠다'는 입장을 이끌어 낸 게 성과"라는 입장입니다.

외교부 당국자는 일본이 약속한 전시와 추도식 등을 언급하며 "과거 일본이 약속만 하고 지키지 않아 어음이 부도가 났다면 이번엔 현찰을 받아낸 것"이라고 빗대 말했습니다.

그러나 일본 측에 더 많이 양보했단 비판은 피하기 어려워 보입니다.

[전영욱/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 : 한국이 선제적인 조치를 취하고 일본이 그에 상응하는 어떤 성의 있는 대응을 한다는 건 처음부터 균형추 자체가 일본 쪽으로 치우쳐 있는 외교 구조가 이미 만들어져 있는 상태입니다.]

[영상디자인 신재훈]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