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24년 만의 푸틴 방북, '군사 동맹' 수준 관계 격상?...한·미 "선 넘지 말라"

입력 2024-06-18 11:33 수정 2024-06-18 12:30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24년 만에 북한을 방문합니다. 푸틴 대통령이 오늘 저녁 평양에 도착하면 1박 2일 간의 북·러 정상회담 일정이 시작됩니다.

지난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러시아 우주 발사 센터 방문 이후 9개월 만에 다시 이뤄지는 정상 간 만남입니다.
 
지난 2019년 정상회담에서 만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왼쪽)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사진=로이터 연합뉴스〉

지난 2019년 정상회담에서 만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왼쪽)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사진=로이터 연합뉴스〉

이번 만남을 통해 북·러 관계가 과거 냉전 시절 '군사 동맹' 수준으로 격상될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도 나옵니다.

특히 1961년 북한이 소련과 체결한 '조(북)·소 우호 협조 및 상호원조에 관한 조약'에 포함됐던
자동 군사개입 조항의 부활 여부가 주목됩니다.

해당 조항은 1990년 소련이 한국과 수교를 맺으며 1996년 폐기된 상태입니다.

푸틴 대통령은
방북에 앞서 노동신문 기고문을 통해 "서방 통제 받지 않는 상호 결제 체계 발전시키고 비합법적 조치 공동으로 반대할 것"이라면서 "공동 노력으로 쌍무적 협조를 더욱더 높은 수준으로 올려세우게 할 것"이라고 예고했습니다.

또한 이번 회담에선 북한의 포탄 지원 등 무기 거래도 더욱 적극적으로 이뤄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옵니다.

북·러는 공식적으로 무기 거래를 부인하고 있지만
한·미 정보당국은 탄도미사일 등 군수물자를 실은 컨테이너 수천 개가 북한에서 러시아로 넘어간 것으로 파악하고 있습니다.

북·러 간 가중되는 군사적 밀착에 한·미는 경고 메시지를 보냈습니다.

조태열 외교부 장관은 "한반도 평화·안정에 저해되는 방향으로 (북·러 간) 논의가 이뤄져선 안 된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고, 그런 경고성 메시지를 러시아 측에 분명히 전달했다"면서 "이번 방문 결과로 (북·러 간에) 어떤 구체적 합의가 이뤄질지 두고 봐야겠지만 결과에 따라 필요한 대응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존 커비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소통보좌관 역시 "북한 탄도미사일이 여전히 쓰이고 있는 우크라이나의 국민에게 미칠 영향뿐만 아니라 한반도 안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상호 조치를 우려한다"면서 "정상회담을 자세히 주시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