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퍼센트] 전체 인파의 0.1%뿐이던 경비 인력…혼잡 시 참사 막으려면

입력 2022-11-06 18:39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앵커]

이태원 참사 당일 경비 인력이 특히 부족했던 걸로 드러났죠. 그날 모인 인파의 0.1% 수준에 그친 걸로 나타났는데요. 참사를 막기 위해선 몇 명이 있었어야 했는지, 통계로 말하는 뉴스 '퍼센트'의 안지현 기자가 분석해봤습니다.

[기자]

'이태원 참사'가 일어난 지난달 29일, 이태원역 이용객은 13만 명이었습니다.

핼러윈을 즐기기 위해 10월의 마지막 토요일에 이태원역 승하차 인원 기준, 최대 인파가 몰린 겁니다.

다만, 코로나를 겪었던 작년과 재작년을 제외하면, 2017년부터 이미 10만 명 넘는 사람들이 핼러윈을 즐기기 위해 이태원을 찾았습니다.

그런데 왜 이번에 이런 참사가 일어난 건지 대책 차이 때문인지 따져봤습니다.

핼러윈을 앞두고 그동안 경찰은 사전에 대책 보고서를 작성하고 현장에는 경찰 인원을 배치해왔습니다.

올해 인력은 137명으로 2017년 이후 가장 많았지만, 불법 행위 단속에 집중해 인파 분산을 위한 경찰 배치는 예년에 비해 크게 늘진 않았습니다.

실제로 137명 가운데 혼잡 관리가 가능한 근무복을 입은 경찰관은 68명뿐이었습니다.

핼러윈 앞두고 경찰이 작성한 대책 보고서에서도 2017년엔 '해밀턴 호텔 일대'를 혼잡 예상 지역으로 적시했고, 지난해엔 전자식 호루라기 등을 이용해 인파를 분산시키라는 내용 등이 있었지만, 올해는 이런 내용이 모두 빠져있었습니다.

다만 올해 뿐 아니라 그동안 핼러윈은 주최자가 없는 행사란 이유로, 안전을 위해 경찰 기동대는 물론 소방 구급대도 사전에 한 차례도 현장에 배치된 적이 없었습니다.

이태원 역 무정차 조치도 올해는 물론 그동안 단 한 차례도 실시되지 않았습니다.

결정적으로 재난 발생시 컨트롤타워 역할을 해야 하는 지자체는 물론, 소방과 경찰의 지휘 체계까지 무너졌고 끝내 참사로 이어졌습니다.

해외는 어떤지 살펴봤습니다.

선진국에서도 2000년 이후 압사 사고가 발생했는데, 일본은 효고현 아카시 시에서 2001년 11명이 사망한 불꽃놀이 압사 사고 이후, '혼잡 경비 매뉴얼'을 만들고 관련법도 개정했습니다.

특히 주최자가 없는 행사에 대해서도 지자체와 경찰, 소방 등이 별도 안전대책을 수립토록 하는 내용을 조례에 넣는 등 4년에 걸친 작업이었습니다.

이때 만들어진 메뉴얼을 살펴보니, 1제곱미터당 인원수에 따라 위험도를 구분하고, 이태원 사고와 같이 통행로가 직각으로 꺾어지면서, 더 좁아지고 경사까지 있으면 가장 위험하다고 써있습니다.

[가와구치 도시히로/간사이대 사회안전학부 교수 : 사람 어깨가 50㎝인데 (이태원 사고 지점의 경우) 3m에는 6명밖에 못 있게 되죠. 일본의 혼잡경비계획이라면 일방통행을 하도록 했을 것입니다.]

미국 역시 2003년 시카고의 나이트클럽에서 21명이 사망한 압사 사고 후, 2년 뒤에 257쪽 분량의 안전매뉴얼을 마련했습니다.

이 매뉴얼에 따르면, 면적 1㎡당 5명이 넘어서는 순간부터 안전사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진단하고 있었습니다.

이태원 참사 당시 1제곱미터당 인원은 16명이나 됐습니다.

이처럼 대비책이 부실한 상황에서, 현장에 배치된 인력은, 경찰 137명으로 모두 다 더한다고 해도 전체 인파의 0.1% 수준.

미국의 화재예방협회는 250명이 모이면 한 명의 관리자 그러니깐 인파의 0.4%는 관리자로 필요하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경찰의 파출소 인력만으로는 감당할 수 없는 상황 속에서, 대비책과 컨트롤 타워마저 무너지면서 156명의 청년들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영상디자인 : 이창환 신하림 김현주 조승우 / 취재지원 : 김연지 이채빈)

관련기사

"주최 없다" 정부와 경찰 반복된 주장…8년 전 매뉴얼엔 경찰법에 책임 명시된 '자치경찰'…참사 때 작동 안 해 현장 교통정리 우왕좌왕…구급차 10분 넘게 꼼짝 못 해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