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원칙 없는 정규직화?…본사 아닌 자회사 편입 '처우 열악'

입력 2018-10-26 20:41 수정 2018-10-26 23:08

교통공사 계약직으로 일하다 재작년 자회사 정규직 전환
교통공사 "자회사 처우 개선 노력 지속하겠다"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교통공사 계약직으로 일하다 재작년 자회사 정규직 전환
교통공사 "자회사 처우 개선 노력 지속하겠다"

[앵커]

잇단 채용비리 의혹에도 서울시는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등 차별적 고용구조의 해소만큼은 계속 해 나가겠다는 입장입니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소외된 노동자들이 있습니다. 바로 서울시가 직접 고용하겠다고 강조해온 안전 분야 노동자들인데요. 교통공사 정규직 대신 자회사로 보내져 열악한 처우를 받고 있어 원칙이 무엇이냐는 비판이 나옵니다.

이정엽 기자입니다.
 

[기자]

설비 공사에 쓰이는 동력나사절삭기 수리작업이 한창입니다.

지하에 거대하게 연결된 배관 시설 수리 작업도 이뤄집니다.

서울교통공사 자회사, 서울메트로환경 설비시설팀 직원들입니다. 

고도의 경험과 기술이 필요해 상당수가 기사 또는 기능장 자격증을 갖고 있습니다.

140여 명 대부분이 서울교통공사에서 계약직으로 일하다 2016년 4월, 자회사인 메트로환경으로 전환배치됐습니다.

정규직이라지만 비정규직때와 달라진 것이 없습니다.

[A씨/메트로환경 직원 : 직급이 없어요. 그냥 현장직으로 20년을 근무해도 100원도 올라가는 게 없어요.]

서울시는 구의역 사고 후 안전 관련 분야 인력은 직접 고용하겠다고 여러 차례 강조했습니다.

메트로환경으로 전환배치된 인력은 플랫폼이 아닌 기지에서 설비를 다룬다는 점만 다를 뿐 지하철 안전과 직접 관련된 일을 합니다.

교통공사측도 지난해, 소방설비직 등을 안전분야에 포함시키기로 한 바 있습니다.

[A씨/메트로환경 직원 : 생명안전직 위주로 (본사 정규직 전환)되는 걸로 알고 있는데 (우리가 대상에서 빠진 게) 너무 이상해서요.]

교통공사 측은 "부당하게 생각할 수 있다며 처우 개선 노력을 하겠다"고 밝혔지만 정규직 전환 정책이 원칙 없이 진행돼 왔다는 비판이 나옵니다.

관련기사

9부능선 넘은 국감…평양선언 비준·최저임금 충돌 인천공항·서울교통공사 비정규직노조, 한국당 의원들 고소 정부, 공공일자리 6만개 '단기처방'…고용쇼크 급한 불 끄기 정부 일자리 대책에 여 "맞춤형 종합대책" 야 "땜질 처방" 기업투자로 일자리 만든다…조기착공 2.3조+α·금융지원 15조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