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팩트체크] 반기문 '대선 출마자격' 논란…확인해보니

입력 2017-01-12 22:44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앵커]

반기문 전 유엔사무총장, '대선 출마자격' 논란에 대해 드디어 입을 열었습니다. 그래서 팩트체크팀이 반 총장의 답변 내용을 하나하나 확인해 봤습니다. 결론은 명쾌한 답이 없었다는 겁니다.

오대영 기자, 우선 선거법 논란부터 한번 볼까요.

[기자]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려면 이런 자격 필요합니다.

공직선거법 16조 ①
- 선거일 현재 5년 이상 국내 거주
- 공무로 외국파견 기간
- 국내 주소 두고 외국 체류

선거일 현재 5년 이상 국내 거주. 공무로 외국파견 기간은 일단 제외하고요. 국내 주소를 두고 일정기간 외국에 체류한 기간은 국내 거주기간으로 본다, 이렇게 돼 있습니다.

반 전 총장은 내일 서울 사당동에 전입신고를 한다고 하거든요. 이 얘기는 전출된 상태였다는 거죠. 그러니까 저 세 번째에 해당되지가 않습니다.

국제공무원신분이었습니다. 한국 정부의 공무원 아니었습니다. 2번에 해당하는지도 그래서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앵커]

가장 큰 논란은 5년 거주, 이 부분 아니겠습니까?

[기자]

그렇습니다. 오늘이 선거일이라면 오늘부터 역으로 해서 5년 동안 쭉 살아왔어야 되는지, 아니면 태어나서 한 5년 정도만 살면 되는 것인지 이게 논란인데. 이에 대한 반 전 총장의 발언 들어보시죠.

[반기문 전 사무총장/유엔 : 중앙선관위에서 분명히 자격이 된다, 이렇게 몇 번 유권 해석을 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꾸 그 문제를 가지고 나온다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고…]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국회의원실에 제출한 자료, 유권해석입니다. 대통령이 될 사람은 민심의 소재와 국가 사회적 실정을 알 수 있어야 한다. 즉 대선 직전까지 계속해서 거주해야 한다라는 취지로 해석이 됩니다.

반면에 그 아래는 이렇게 돼 있습니다. '계속여부를 불문하고 피선거권이 있다고 볼 수도 있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니까 여기서는 반대로 보고 있었습니다.

즉 선관위의 답변서 내에서도 취지의 해석과 문구의 해석이 서로 엇갈린 겁니다.

[앵커]

그러면 법률 전문가들은 어떻게 보고 있습니까?

[기자]

선관위의 해석처럼 법률 전문가의 해석도 엇갈렸습니다. 결국 입법에 대한 해석이 명쾌하지 않다는 건데요. 이런 역사적인 맥락 때문입니다. 5년 거주는 1962년 5차 개헌 때 처음 등장을 했습니다.

당시에는 '선거일 현재 계속하여 5년 이상', 이렇게 분명히 돼 있죠.

[앵커]

그러니까 처음에는 '계속하여'가 명확하게 들어가 있었군요.

[기자]

그렇습니다. 그렇게 되고 그 이후에 계속 유지가 됐는데 1987년에 헌법이 바뀌면서 이 조항 전체가 사라지게 됩니다. 그러다가 1997년 선거법에 '계속하여'만 빠지고 저런 문구(선거일 현재 5년 이상)가 들어가게 되죠. 그리고 지금까지 이어졌습니다. 그러면 이게 왜 빠졌느냐 이것만 보면 되겠죠.

저희가 당시 국회 회의록에 명확한 이유가 있을까 싶어서 찾아봤는데 나와 있지가 않았습니다. 따라서 이 5년 거주 규정, 논란이 여전히 꺼지지 않았습니다.

[앵커]

그리고 반 전 총장이 기자들에게 받은 또 하나의 질문이 UN 결의안 위반이잖아요. 이건 어떻습니까?

[기자]

그 문제가 사실 더 중요할 수도 있겠습니다. 1946년의 결의안 내용입니다, 원문입니다. 이렇게 돼 있습니다. 핵심은 '퇴임 직후에 어떤 정부의 자리도 삼가는 게 바람직하다'입니다.

이에 대한 반 총장의 오늘 개인 의견임을 전제로 한 말 이겁니다, 들어보시죠.

[반기문 전 사무총장/유엔 : 그 문안의 해석 여지가 그렇게 많지 않습니다. 없습니다. 그것이 저의 정치적인 행보, 특히 선출직과 관련된 정치 행보를 막는 그런 조항은 아니고…]

선출직을 얘기했습니다. 그러니까 임명직만 해당이 된다. 즉 'Offer', 제안하다라는 단어에 집중을 한 건데요. 하지만 UN 결의안의 맥락을 제가 자세하게 보여드리겠습니다.

UN은 confidential information, 비밀정보를 가지고 특정 정부에서 일하는 것은 안 된다는 취지를 밝히고 있습니다. 선출직이냐 임명직이냐가 본질이 아니라는 거죠.

그리고 논란의 또 다른 핵심인 이겁니다. immediately on retirement. 퇴임 직후 삼가야 한다라는 규정은 아예 답하지 않았습니다, 오늘요.

원래 대선은 반 총장 퇴임 1년 뒤인 올해 12월에 치러지게 돼 있었죠. 그런데 지금 조기대선의 가능성이 큽니다. 퇴임 3~4개월 만에 선거에 나가는, 상황이 완전히 달라진 겁니다.

[앵커]

퇴임 3~4개월 만이면 퇴임 직후로 봐야 되는 거 아닙니까?

[기자]

직후로 봐야겠죠. 전직 사무총장 중에 대선에 나간 사람 2명 있습니다. 모두 4~5년 뒤에 출마를 했거든요. 그런데 반 총장은 귀국도 하기 전에 이미 마포에 캠프까지 차렸습니다. 대변인 등 참모진도 가동이 됐습니다.

그리고 지난해 연말 뉴욕에서 '한 몸 불사르겠다', 우회적으로 출마를 선언했습니다. 그러니까 퇴임 직후가 아니라 퇴임과 동시에 정치에 뛰어든 겁니다.

[앵커]

전직 UN 사무총장이 결의안 위반 논란까지 일으키면서 선거에 나왔다는 비판 면하기가 어렵겠군요.

[기자]

그 결의안의 골자가 뭐냐 하면 UN 사무총장으로서 일하면서 가진 여러 가지 정보들, 비밀들, 그걸 가지고 그 경험을 통해서 정치적으로 활용하지 말라라는 얘기입니다. 그런데 반 전 총장 오늘 정반대로 말했습니다. 들어보시죠.

[반기문 전 사무총장/유엔 : 앞으로 제가 10년간 유엔 사무총장으로서 경험을 어떻게 국가 발전에 사용할 수 있을지… 어떻게 하는 것이 가장 좀 제가 잘할 수 있는 것인지…]

'경험을 사용하겠다' 그랬죠. 결의안은 법적 강제성은 없지만, 그렇다고 정치적으로 면책되는 건 아닙니다.

반 전 총장은 10년간 국제 사회에서 결의안 위반에 대해서 강하게 비판을 해 왔습니다. 그런데 지금 본인의 얘기에 대해서는 핵심을 피해갔습니다.

[앵커]

출마 자격 얘기가 나오는 걸 보니까 검증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 같군요. 팩트체크 오대영 기자였습니다.

관련기사

귀국한 반기문 "정치 교체"…박연차 관련 의혹은 부인 반기문 귀국 동시에 '구애와 견제'…확 갈라진 정치권 반기상 부자 사기극 와중에…반기문 '성완종 독대' 왜? 반기문 동생·조카, 미국서 전격 기소…30억 뇌물 혐의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