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아무 증상 없는데 뇌경색? 갑자기 이가 빠진다면…위험

입력 2013-07-21 21:10 수정 2013-07-22 08:31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앵커]

단일질환 중에서 국내 사망원인 1위가 뇌혈관 질환입니다. 특히, 뇌혈관이 막히는 뇌경색 가운데 아무런 증상 없이 갑자기 악화되는 경우가 많아 조심해야 합니다.

천권필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두 달 전, 뇌경색 진단을 받고 치료 중인 62살 김병교 씨.

평소 별다른 증상이 없었던 터라, 진단 결과를 통보 받고는 충격이 컸습니다.

[김병교/뇌경색 환자 : 놀랬죠. 진짜 놀랐어요. 특별한 증상이 나타난 게 없으니까. 뇌 쪽은 아예 신경 자체를 안 쓰고 있었죠.]

김 씨의 MRI 사진을 보면 왼쪽 뇌에 하얀 반점 두 개가 선명합니다.

뇌에 있는 혈관이 막혀 혈액 공급이 제대로 안 되면서, 주변 뇌세포가 파괴된겁니다.

뇌경색이 발생한 부위에 따라 통상 안면 마비나 발음이 어눌해지는 증상이 나타나지만 김씨처럼 아무 증상이 없는 경우도 많습니다.

[김호정/신경과 전문의 : 뇌경색 크기가 작거나 증상을 느끼지 못할 부위에 병변이 있는 경우에는 본인이 자각하는 증상이 거의 없습니다.]

하지만 이를 방치했다간 뇌졸중 발생 가능성이 일반인의 10배, 치매는 두 배 이상 높아집니다.

특히, 뇌경색 환자 5명 중 4명은 60대 이상이기 때문에 노인들은 더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갑자기 이가 많이 빠지거나, 심한 어지럼증이 느껴진다면 뇌경색을 의심하고 병원을 찾는게 좋습니다.

[정필욱/서울강북삼성병원 신경과 교수 : 고혈압·당뇨·고지혈증 같은 위험인자를 가지고 있는 분 중에서 갑자기 일시적으로 마비가 온다거나 한쪽 팔다리가 저리다던가…]

뇌경색을 예방하려면, 평소 일주일에 3~4회, 30분 이상씩 유산소 운동을 꾸준히 해야 합니다.

관련기사

푹푹찌는 요즘, 아이스커피 한잔? 오히려 탈수 증상 부채질 20대 목디스크 급증…고개 숙여 스마트폰 하다보니 '욱신' 비행기만 타면 '두근두근' 공포 엄습…두려움 극복하려면 초복엔 삼계탕으로 몸보신? 고칼로리 오히려 '독' 될수도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