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일 보고서에 지분 매각 제외"…대통령실도 강경 대응

입력 2024-05-14 19:23 수정 2024-05-14 19:25

일본, 해킹 사건 계기로 '라인야후' 행정지도
정부 "네이버 입장 우선" 한 달 만에 공식입장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일본, 해킹 사건 계기로 '라인야후' 행정지도
정부 "네이버 입장 우선" 한 달 만에 공식입장


[앵커]

일본 정부의 압박으로 시작된 이른바 '라인 사태'와 관련해, 네이버가 일본 라인야후 지분을 일단 매각하지 않겠다는 뜻을 대통령실에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대통령실은 "네이버의 의사에 배치되는 불리한 조치는 절대 있어서는 안 된다"고 공개적으로 밝혔습니다.

강희연 기자입니다.

[기자]

네이버가 일본 정부에 제출할 정보보안 강화 대책에 지분 매각은 포함되지 않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7월 1일까지 일본 정부에 라인야후가 제출하는 행정지도에 따른 보고서에 지분 매각이 들어가지 않을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대통령실은 네이버와 소통해 조율한 내용이라고도 덧붙였습니다.

일본 정부는 지난해 11월 네이버 클라우드 해킹 사건을 이유로 라인야후에 행정지도를 하고 대책 보고서를 제출하라고 했습니다.

행정지도 내용에는 "자본관계에 관한 재검토 요청" 즉 네이버가 가진 지분 매각을 압박해왔는데 이번엔 그런 내용은 담지 않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는 겁니다.

대통령실은 그동안 이 문제 언급에 소극적이었습니다.

한·일 관계 악재로 작용할 걸 우려한 것 아니냐는 추측이 나왔습니다.

기업 문제에 정부가 섣불리 나서기 보단 네이버의 입장 표명이 우선이라는 입장이었습니다.

어제(13일)서야 해당 사태가 불거진 지 거의 한 달 만에 처음으로 공식 입장을 밝혔습니다.

야권의 '반일 프레임'이 거세지고 여권에서조차 "정부가 손 놓고 있단" 지적이 나오자 대응에 나섰던 걸로 풀이됩니다.

이틀 연속 브리핑을 한 대통령실은 일본 정부를 향해서는 한 층 강경한 입장을 내놨습니다.

[성태윤/대통령실 정책실장 : 일본 정부가 자본 구조와 관련되어 네이버의 의사에 배치되는 불리한 조치를 취하는 일이 절대 있어서는 안 될 것입니다.]

또 일본 정부에 정보보안 강화 대책을 제출하고자 한다면 국내기관의 기술적, 행정적 자문도 네이버에 지원하겠다고 했습니다.

[영상디자인 강아람]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