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이번엔 넘어가지만…일본 정부 '지분 매각' 압박 불씨 여전

입력 2024-05-14 19:25 수정 2024-05-14 19:27

지분 일부만 넘겨도 소프트뱅크가 경영권 확보
사업 인허가권 등 다른 형태 압박 가능성도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지분 일부만 넘겨도 소프트뱅크가 경영권 확보
사업 인허가권 등 다른 형태 압박 가능성도

[앵커]

네이버가 일단은 지분을 매각하지 않기로 가닥을 잡았지만, 이후에도 일본 정부의 압박이 계속될 것으로 보여 논란은 언제든 다시 불거질 수 있습니다. 대통령실이 연일 강경한 입장을 밝히면서 한일 정부 사이의 외교 문제로 번질 수 있는 상황입니다.

김도훈 기자입니다.

[기자]

'라인야후의 자본관계를 재검토하라'는 일본 정부의 행정지도를 네이버가 따르지 않아도 법적 처벌은 없습니다.

하지만 일본 정부가 기한으로 잡아놓은 7월 1일 이후에도 지분을 매각하라는 압박은 되풀이될 가능성이 큽니다.

라인야후의 최대주주는, 네이버와 소프트뱅크가 각각 50%씩 출자한 A홀딩스입니다.

네이버가 소량의 지분만 소프트뱅크에 넘겨도 소프트뱅크가 경영권을 가져갈 수 있는 만큼 수년 전부터 이런 시도가 있었단 겁니다.

정부 역시 이런 점을 인지하고 있습니다.

[강도현/과학기술정보통신부 2차관 : 이사 구성 등을 볼 때 라인야후의 경영권은 2019년부터 사실상 소프트뱅크에 있는 것입니다.]

네이버 측은 여전히 신중한 입장입니다.

네이버 관계자는 "7월 1일까지 협상이 되지 않을 수 있다"며 "그 때까지 지분을 어떻게 할지, 결정이 안날 수도 있다"고 말했습니다.

네이버가 일본 정부의 요구를 무시할 경우 예상되는 부담도 만만치 않습니다.

일본에서 통신과 플랫폼업 등을 하는 해외사업자인 만큼 앞으로 사업 인허가 등 다른 압박을 받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위정현/중앙대 경영학부 교수 : 매각 이슈 이외에도 네이버가 일본 내에서 사업을 영위하는 데 있어서 이번 행정지도처럼 일본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압박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런 가운데, 라인야후의 한국법인인 라인플러스는 조금 전부터 전 직원을 대상으로 이번 사태에 대한 입장을 밝히고 있습니다.

[영상디자인 곽세미]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