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단독] 독립기념관, 5년 전 알고도 '뒷짐'…자료 요청도 없었다

입력 2024-05-14 19:52 수정 2024-05-14 22:30

역사 전문가 "중국 측 자료 입수 시급"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역사 전문가 "중국 측 자료 입수 시급"

[앵커]

보신 것처럼 김구 선생의 공관은 중국 지자체가 문화재로 지정해 관리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정작 우리 기관들은 이곳에 대한 사료가 없다며 사실상 모른 체 해왔는데, JTBC가 이번 현지 취재를 통해 확보한 사료들을 제공하기로 했습니다.

계속해서 김안수 기자입니다.

[기자]

폭탄이 떨어지고 검은 연기가 치솟습니다.

1938년부터 시작된 일본의 충칭 대공습입니다.

[충칭대폭격/중국 '바이두' : 일본군은 1938년 2월 18일부터 1943년 8월 23일까지 충칭에 5년 반에 걸쳐 전략 폭격을 펼쳤습니다.]

일본군은 1938년 2월 18일부터 1943년8월23일까지 충칭에 5년 반에 걸쳐 전략 폭격을 펼쳤습니다.

JTBC가 현지에서 입수한 1993년에 출판된 책입니다.

"공습이 시작되자 중국 국민당 정부는 중요인물들을 가락산으로 피신하도록 명령했다"는 구절이 나옵니다.

'패망한 대한국총리 김구호'라는 이름도 나옵니다.

[박운본/중국충칭한국인회 고문 : 여기에 보면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가락산) 계화만에 있었고, 옛날 건물 모습이 아직 존재한다'고 표기가 되어 있습니다.]

2005년도 책에는 김구공관의 복원 전 사진이 실려 있습니다.

목재인 창틀과 테라스는 부식됐지만 지금의 모습과 똑같습니다.

저자는 JTBC에 "중국 정부의 자료를 참고해서 쓴 책"이라고 했습니다.

우리 독립기념관도 5년 전 김구 공관의 소문은 들었다고 했습니다.

[독립기념관 관계자 : 정식적으로 거기를 조사한 적은 없고요. 저희가 가지고 있는 자료에는 근거가 없더라고요.]

중국엔 자료 요청도 하지 않았습니다.

[독립기념관 관계자 : 말씀하신 그 자료는 저희가 현재까지도 접근을 못 했고요. 혹시 보내주시면…]

취재진이 접촉한 국내 역사 분야 전문가들은 "중국 측 자료 입수가 시급하다"고 입을 모았습니다.

독립기념관은 JTBC가 보낸 취재 내용을 검토뒤 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혔 밝혔습니다.

[영상디자인 신재훈 / 영상자막 장희정]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