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긴박한 통화 뒤…채 상병 사건 '회수 움직임' 속도 붙었나

입력 2024-04-23 19:05 수정 2024-04-23 19:21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앵커]

이렇게 대통령실과 국방부, 그리고 해병대 사이에 긴박하게 오간 통화 기록을 분석하다 보니 시점상 눈에 띄는 점이 있었습니다. 이 통화들이 이뤄진 직후부터 국방부 유재은 법무관리관이 채 상병 사건을 경찰로부터 회수하기 위해 급박하게 움직이기 시작했다는 겁니다.

김지윤 기자가 정리해 드립니다.

[기자]

박정훈 해병대수사단장이 소속 수사관을 통해 경북경찰청으로 채 상병 순직 사건을 넘긴 건 지난해 8월 2일 오전 10시 반쯤입니다.

김계환 해병대사령관은 오전 11시 13분과 11시 20분, 이종섭 당시 국방부 장관의 군사보좌관과 통화했습니다.

유재은 국방부 법무관리관은 오전 11시 46분과 11시 52분, 두 차례에 걸쳐 김계환 해병대사령관에게 전화합니다.

이때를 전후해 국방부가 사건이 경찰로 넘어갔다는 사실을 알게 된 것으로 보입니다.

낮 12시 50분에는 임종득 당시 국가안보실 2차장이 김 사령관에게 전화해 8분 가까이 통화합니다.

적어도 이때는 대통령실도 사건 이첩 소식을 알게 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임 전 차장의 전화를 받은 김 사령관이 임성근 당시 해병대 1사단장과 유 법무관리관에게 연달아 전화합니다.

별다른 움직임이 없던 국방부가 이때부터 급박하게 나섭니다.

유 법무관리관은 임 전 차장의 연락을 받은 김 사령관과 통화한 뒤, 오후 1시 50분쯤 당시 경북경찰청 수사부장에게 전화해 '사건 회수' 논의를 시작했습니다.

이날 오후 늦게에는 이시원 공직기강 비서관과 통화한 정황도 나왔습니다.

지난해 7월 31일 이종섭 당시 국방부 장관이 사건 이첩을 보류하라고 지시한 이유와 과정은 물론이고, 사건을 다시 가져오라고 지시한 게 누구인지도 수사로 밝혀져야 할 대목입니다.

이종섭 전 주호주대사는 지난주 "사건 회수는 귀국 후 사후 보고받는 과정에서 알게 됐다"고 먼저 선을 그었습니다.

[영상디자인 황수비 강아람]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