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김영환, 오송 참사 유족 만나 사과했지만…"마음 안 전해져"

입력 2023-07-28 20:22 수정 2023-07-28 21:54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앵커]

다음은 오송 지하차도 사고 관련 소식입니다. 현장에 늦게 도착하고도 자신이 일찍 가도 소용없었을 거란 말로 논란을 키웠던 김영환 충북도지사가 오늘(28일) 유족들을 만나 사과했습니다. 그러나 유족들은 진정성을 믿기 어렵다고 했습니다. 사고와 관련해 수사를 받는 책임자들은 36명으로 늘었습니다.

정영재 기자입니다.

[기자]

[김영환/충북도지사 : 죄송합니다.]

유족들을 만난 김영환 지사는 고개부터 숙였습니다.

그동안 말실수를 의식했는지 사과 말고는 말을 줄였습니다.

그래도 유가족들은 분노했습니다.

[유가족 : 죄송한 마음이 솔직히 저희 받아들여지지도 않고, 그 마음이 전달되지 않습니다.]

사과는 했지만 한달 동안 분향소를 유지하게 해달라는 유족들 요구는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애초 충북도는 내일까지만 분향소를 운영하도록 했다가 이 면담 뒤 다음달 2일까지로 양보했습니다.

참사 전후 수십 건 신고와 경고를 무시했던 관련자들에 대한 수사는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무조정실은 오늘 감찰 결과를 발표했고 18명을 수사의뢰했습니다.

수사 의뢰 대상은 모두 36명, 공직자와 공사 직원 2명도 포함됐습니다.

[흥덕구청 관계자 : 구청이 관리하는 하천이 아니에요.]

[청주시 관계자 : 안전정책과로 (전화를) 하라고, 전달하라고 했어요. 우리 업무는 아니니까.]

[박준규/충청북도 재난안전실장 : 그 시기에는 전 몰랐고요. 그 후에는 알았습니다.]

지자체와 소방이 묵인한 신고 11건. 그리고 참사 직전까지 반복된 책임 회피.

서로 미루다 골든 타임을 놓치게 한 5개 기관 공무원 63명은 징계하기로 했습니다.

[방문규/국무조정실장 : 수많은 경고가 있었음에도 궁평 2지하차도와 주변 미호강과 관련된 여러 기관이 상황의 심각성을 제대로 인식하고 적극적으로 대처하지 못해…]

책임을 분명히 가리고 걸맞는 처벌을 하는 게 그나마 진정한 사과입니다.

(영상디자인 : 조영익)

관련기사

오송 참사 현장 찾은 이상민 "안전 총책임자로서 무한 책임" 오송읍 관할 출근자 3명뿐…'현장'의 억울함 토로했지만 오송 찾은 윤재옥 원내대표 "김영환 충북지사 징계, 조사해 판단"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