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사교육비 경감' 방향은 맞지만…"시기 부적절, 혼란만 부추겨"

입력 2023-06-19 20:04 수정 2023-06-19 21:25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앵커]

수능이 어떻게 출제될지 혼란스럽고, 또 수능 문제를 내는 교육과정평가원장은 물러났습니다. 교육부를 담당하고 있는 성화선 기자와 이번 사안을 좀 더 짚어보겠습니다.

성 기자, 수능이 얼마 남지 않았는데, 평가원장이 물러났어요. 이건 대단히 이례적인 일이죠?

[기자]

네, 수능이 딱 150일 남았는데, 수능을 출제하고 관리하는 컨트롤 타워가 리셋된 셈입니다.

지금껏 수능 문제 오류 때문에 사퇴하는 일은 종종 있었지만, 모의평가의 난이도 때문에 평가원장이 그만두는 일은 한번도 없었습니다.

혼선이 불가피해 보이는 대목입니다.

[앵커]

그러니까요. 지금 이번 수능이 어떨지, 학생들과 학부모들도 혼란스럽다고 하는데, 컨트롤타워까지 물러나면 이 혼란을 수습할 당사자가 자리에 없는 것 아닙니까?

[기자]

그렇습니다.

[앵커]

오늘 정부는 사교육 주범이 '킬러 문항'이라고 했습니다. 킬러 문항이 상당히 어려운 문제 이건데, 킬러 문항이 뭔지 구체적으로 어떤 건지 볼 수 있을까요?

[기자]

국어 비문학, 교과 융합형 문제를 말한 건데요.

2019학년도 국어 31번입니다. 과학과 철학이 연계된 지문인데, 만유인력, 질점 등 어려운 단어가 보입니다.

당시 학생들이 풀 수 있는 문제냐는 논란이 커졌고, 결국 평가원장은 "혼란과 심려를 끼쳤다"며 사과를 했습니다.

그런데 지난해 수능에서도 이런 식의 문제가 또 나왔습니다.

국어 17번 문항인데요. 클라이버의 기초 대사량 연구와 관련한 지문이었습니다.

이러다 보니, 킬러 문항을 풀려면 학원 사교육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는 얘기가 많이 나왔던 겁니다.

[앵커]

잠시만요, 이게 국어문제죠?

[기자]

국어문제인데요, 그래프 편차, 기울기 굉장히 어려워 보입니다.

[앵커]

물론 종합적인 사고를 요구한다고 하지만, 제가 봐도 풀기 어려운 문제 같기는 합니다. 킬러 문항들이 점점 어려워지면 사교육 시장에 의존하는 게 높아진다, 대통령의 얘기인데 이건 맞습니까?

[기자]

일정 부분 그런 부분이 있습니다. 그래서 킬러 문항이 필요한가에 대한 문제 제기는 꾸준히 제기됐습니다.

[앵커]

그런데 너무 어려운 문제를 빼면 문제 출제하는 사람들이 나쁜 마음을 먹고 어렵게 내는 게 아니라 너무 쉽게만 내다보면 이게 상대편 간, 학생들 간에 변별력이 없어서 특정 등급에 학생들이 몰리면 또 수능시험이 의미가 없다, 이런 얘기가 나왔기 때문에 변별력을 찾다 보니까 저렇게 된다, 이런 주장도 있던데요.

[기자]

킬러 문항을 없애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공감하시는 분들이 많으실 것 같습니다.

하지만 현실은 수능은 상대평가잖아요.

1등부터 나오는 건데 이런 킬러 문항 없이 어떻게 변별력을 유지할 수 있냐, 이런 문제가 남게 됩니다.

당장 2014년 사례를 보시죠.

당시 정부는 앞으로 수능 영어는 절대평가로 바꾼다고 발표를 했습니다.

2017년 수능부터 적용이 됐는데, 보시는 것처럼 고등학생의 한 달 영어 사교육비는 계속 증가했습니다.

이런 사례들까지 종합적으로 보면서 어떻게 해야 킬러 문항 없이 변별력 있는 수능을 만들지 길을 찾아야 하는데, 지금 그게 가능하겠느냐는 겁니다.

[앵커]

오히려 17년에 바꾸겠다고 했는데 더 늘어났군요.

[기자]

크게 늘어났습니다.

[앵커]

학부모들 또 학생 입장에서는 뭔가 바뀌는 불안해서 여기에 컨설팅해 줄 수 있는 사교육에 더 의존하는 경향도 있다, 이렇게 볼 수 있습니까?

[기자]

이런 사례들을 종합을 해 보면 어떤 정책이 바뀌었을 때 학부모들의 불안 때문에 오히려 더 사교육을 찾게 되는 현상이 나타나기도 하는 겁니다.

[앵커]

그리고 앞서 너무 교과과정만 내다보면 원래 수능이라는 게 좀 종합적인 사고를 요구하자, 이런 취지였는데 그건 또 벗어난다, 이런 지적도 있긴 하고요. 또 150일 남기고 이렇게 출제 경향을 바꾸게 되면 학생들로서는 상당히 불만도 있고 혼란도 있을 것 같아요.

[기자]

그 부분에 대해서는 전문가의 이야기 들어보시겠습니다.

[이만기 /유웨이 교육평가연구소장 : (장기적으로) 좋은 메시지이긴 한데 시기적으로 너무 급했다. 너무 시기가 임박해서 내면 그 효과가 반감되는 거죠. 오히려 혼란만 부추길 수밖에 없는 거죠.]

당장 여름방학 특강부터 대치동 등에서 발빠른 사교육 업체들이 이른바 '적당히 어려운 문제'를 모아서 가르칠 것이란 전망도 나옵니다.

급작스러운 정책 전환이 또 한번 정보력으로 무장한 사교육계에게 기회가 되는 건 아닌지 우려가 있는 겁니다.

[앵커]

그러니까 요약하면 사교육 의존을 낮추자고 냈던 대책이 오히려 사교육 의존을 어쨌든 단기적으로는 높이게 된다, 그런 얘기군요.

[기자]

그렇습니다.

[앵커]

시장은 늘 발이 빠르죠. 알겠습니다. 성화선 기자였습니다.

관련기사

9월부터 킬러 문항 '아웃'…수험생·학부모 불안감 고조 이주호 장관 "공교육 과정 다루지 않은 내용 배제…적정 난이도 확보" 대입 담당 국장 경질…뚜렷한 증거 없이 "이권 카르텔" 비난도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