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성범죄 재범 위험성 높다" 결정에도 따로 관리 안 돼

입력 2021-08-30 20:11 수정 2021-08-31 15:48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앵커]

왜 강씨 같은 성범죄자를 제대로 관리하고 감독하지 않았던 건지 법조팀 이지혜 기자와 한 걸음 들어가 보겠습니다. 어서 오세요. 우선 이번 사건 전에도 강씨가 다시 범죄를 저지를 수 있다 이런 경고가 나오지 않았습니까?

[기자]

지난해 6월에 남부지법이 강씨에게 5년 동안 전자발찌를 부착하라고 명령을 내린 결정문에 명확하게 담겨 있습니다.

성범죄자 위험성 평가에서 강씨는 총점 13점으로 높음 수준이었습니다.

법원은 성폭력 범죄가 습관적이고 재범 즉 다시 범죄를 저지를 위험성이 있다고 봤습니다.

[앵커]

법원이 이렇게 재범 위험성이 크다라고 보는데 법무부가 1:1 감독을 왜 안 한 겁니까?

[기자]

전자장치부착법에는 19세 미만을 대상으로 성폭력 범죄를 저지른 사람이어야 1:1 감독을 한다고 돼 있습니다.

하지만 강씨가 아동, 청소년을 대상으로 성범죄를 저지른 적이 없다는 겁니다.

법무부 내부지침상으로 성범죄 횟수가 3차례 이상일 때 해당이 되는데 강씨의 성범죄가 2차례라 이 역시 해당이 되지 않았습니다.

법무부는 강씨가 또 집중감독대상이었다고 밝혔는데요.

올해 5월부터 살고 있는 곳에 여러 차례 불시에 방문을 했지만 이 역시 재범을 막을 정도로 관리하지는 못한 걸로 보입니다.

[앵커]

그리고 이해가 좀 안 됐던 게 신상공개 대상도 아니라면서요.

[기자]

맞습니다. 성범죄자 신상정보등록제도는 2011년 4월에 도입이 됐습니다.

2013년 6월에 관련 법이 개정됐을 때도 소급 즉 이전 범죄자까지 공개할 수 있는 건 3년으로 정해졌습니다.

강씨는 2006년에 유죄판결이 확정이 돼서 빠졌습니다.

1:1 감독과 신상공개라는 그물망이 강씨를 걸러내지 못한 겁니다.

[앵커]

제도가 있어도 요리조리 빠져나갈 수 있었다라는 건데 전자발찌 끊기 전에도 야간외출제한을 어겼다는 사실도 오늘 알려졌는데, 그 뒤에 어떤 조치를 취할 수 있지 않았을까요?

[기자]

강씨는 밤 11시부터 다음 날 새벽 4시까지 외출을 할 수가 없습니다.

보호관찰 직원은 27일 0시 14분에 강씨가 외출했다는 사실을 파악했는데요.

20분 뒤에 강씨가 귀가한 걸 확인하자 집안까지는 살펴보지 않고 그냥 돌아갔다고 합니다.

그런데 1차 피해자는 이미 전날인 26일에 숨져 있었고 시신도 집에서 발견이 됐습니다.

처음에 더 엄격하게 조사를 했다면 2차 피해는 막을 수 있었지 않겠냐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앵커]

법무부는 뭐라 그러던가요?

[기자]

법무부는 밤이 늦어서 집에 들어갈 상황이 아니었다, 바로 조사하는 건 통상적이지 않다 이렇게 해명을 했습니다.

[앵커]

강씨가 전자발찌를 끊고 이제 도주를 했는데 처음에 이동경로 파악하는 게 어려웠잖아요. 이런 걸 대비해서 뭔가 대책이 마련된 게 없나요?

[기자]

서울시의 25개 시군 가운데 법무부의 위치추적 시스템과 지자체 CCTV가 실시간으로 연계된 곳은 11개 구에 불과합니다.

그런데 강씨가 범행을 한 송파구는 이 CCTV 실시간 조회가 안 됩니다.

그래서 최초의 이동경로를 파악하는 데 더 애를 먹었고 그 추적에도 공백이 생긴 겁니다.

관련기사

'전자발찌 끊고 살인' 도주 20시간 뒤에야 체포영장 접수 자수 5시간 전에도 살인…경찰 따돌리고 '치밀한 도주' 전자발찌 끊고 "여성 2명 살해"…성폭력 포함 전과 14범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