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역대 일본총리 8·15 기념사…아베 이후 사라진 '가해 책임'

입력 2021-08-15 12:06 수정 2021-08-15 14:45

교도통신 분석 결과 '평화·부전'→'번영·미래'로 키워드 변화
스가, 아베의 '적극적 평화주의' 계승…가해 책임 언급 안 해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교도통신 분석 결과 '평화·부전'→'번영·미래'로 키워드 변화
스가, 아베의 '적극적 평화주의' 계승…가해 책임 언급 안 해

역대 일본 총리의 태평양전쟁 종전일(패전일) 기념사를 분석한 결과, 아베 신조(安倍晋三) 2차 정권 출범 이후 주변국 가해 책임에 대한 언급이 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교도통신은 인공지능(AI) 분석회사인 '스크린 어드밴스드 시스템 솔루션즈'의 함께 1991년 이후 일본 총리의 종전일 식사(式辭)를 계량 분석해 15일 이같이 보도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역대 총리의 식사에 등장하는 특징적인 키워드는 '평화'와 '부전(不戰)의 결의'에서 '번영'과 '미래'로 이행하는 경향을 보였다.

일본 총리가 매년 8월 15일 도쿄에 열리는 '전국전몰자추도식'에서 하는 식사는 전통적으로 '전쟁 희생자와 유족 애도', '전후 일본의 행보 언급', '평화 구축 의지 표명' 등으로 구성됐다.

희생자 대상에 '아시아 근린 제국'이 추가된 것은 1993년 호소카와 모리히로(細川護熙) 내각 때로, 외국의 전쟁 희생자가 처음으로 언급됐다.

호소카와 내각은 38년 만에 자민당 정권이 붕괴하고 탄생한 정권이었다.

이어 1995년 무라야마 도미이치(村山富市) 총리는 전후 50년 담화로 "식민지 지배와 침략으로 아시아 제국의 사람들에게 다대(多大)한 손해와 고통을 줬다"면서 "통절한 반성의 뜻과 마음으로부터의 사죄"를 표명했다.

무라야마 담화 이후 일본 내각은 '손해와 고통', '반성' 등 표현을 패전일 식사 등을 통해 계승해왔다.

그러나 2012년 12월 아베 2차 정권이 출범하고 일본의 침략 행위에 대한 언급이 사라졌다.

특히, 아베 전 총리는 2015년 전후 70년 담화를 통해 중국 등에서의 행위를 침략이라고 명시하지 않고 "아이들에게 사죄를 계속하는 숙명을 지게 해서는 안 된다"며 이른바 '사죄 외교'와의 단절을 언급했다.

2013년부터 작년까지 아베 총리의 패전일 식사에는 '손해와 고통', '반성'이라는 표현이 등장하지 않는다. 아시아 주변국에 대한 가해 책임을 시사하는 표현이 사라진 것이다.

교도통신은 이런 변화에 대해 "중국, 북한의 위협 증대에 따른 일본의 군비 강화와 역사 문제를 둘러싼 한국과의 관계 악화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아베 전 총리는 작년 종전일에는 '안보는 자력으로 지켜야 한다'는 의미로 해석되는 '적극적 평화주의'를 주창했다.

일본에서 적극적 평화주의는 헌법에 자위대 근거 조항을 명기하는 방향으로 개헌을 하자는 명분으로도 제시되고 있다.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총리도 이날 전국전몰추도식 식사를 통해 "우리나라는 적극적 평화주의의 깃발 아래 국제사회와 힘을 합쳐 세계가 직면한 다양한 과제의 해결에 전력을 다하겠다"며 아베 정권의 적극적 평화주의를 계승했다.

스가 총리는 아베 전 총리 때와 마찬가지로 일제의 침략 전쟁 당시 아시아 주변국에 대한 가해 책임은 언급하지 않았다.

작년 9월 취임한 스가 총리는 이날 총리 자격으로 처음 태평양전쟁 종전 행사에 참석했다.

(연합뉴스)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