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코로나 패스 없으면 입장 불가? 자유 침해!" 파리의 맛집 뿔났다

입력 2021-07-14 17:44 수정 2021-07-14 18:24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프랑스 파리의 맛집으로 알려진 레스토랑 르 메스튀헤(위)와 매니저 알랭 퐁텐(아래) 〈사진=로이터〉프랑스 파리의 맛집으로 알려진 레스토랑 르 메스튀헤(위)와 매니저 알랭 퐁텐(아래) 〈사진=로이터〉

"백신 접종 증명서(코로나 패스) 갖고 계시죠? 보여주세요. 없으시면 입장 안 됩니다."


프랑스에선 다음 달부터 어디를 가더라도 이런 안내를 받게 됩니다. 식당과 카페, 술집, 백화점이나 영화관 이용은 물론 버스·기차·비행기 등 대중교통을 탈 때도 마찬가지입니다. 백신을 맞지 않았다면 48시간 안에 받은 코로나 19 음성 결과 인증이 필요합니다. 현지시간 12일 프랑스 마크롱 대통령은 이런 내용이 담긴 '대국민 담화'를 발표했습니다.

프랑스에서 한 차례 이상 백신을 맞은 사람은 전체의 53%, 두 차례 접종을 모두 마친 사람은 37%입니다. 접종률이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는 데다, 델타 변이 확산으로 확진자가 하루 4000명대까지 늘어나자 프랑스 정부가 내놓은 '궁여지책'입니다.

하지만 자유의 가치를 중시하는 프랑스에서 다른 목소리가 나오지 않을 리 없습니다. 로이터통신은 마크롱의 발표 이후 '르 메스튀헤(LE MESTURET)'라는 파리의 레스토랑을 찾았습니다. 한국 여행객들에게 '파리의 맛집'으로 잘 알려진 곳입니다.

"우리의 자유를 다시 침해하는 추가 조치라고 생각합니다. 무리죠. 식당이나 어디든 갈 때마다 '패스 여기 있어요.'라고 말해야 한다면 정말… 지긋지긋해요." - 세바스찬 카 메이르시니, 손님

레스토랑 매니저도 새로운 조치를 비판했습니다.

"얼마나 많은 손님이 (백신 패스를 보여달라는 요청을 받고) 식당을 떠나거나, 저희와 여러 충돌을 빚을까요. 우리는 친근감, 미소, 행복을 주는 직업에서 누군가를 제재하는 직업이 되는 거죠. 패스를 확인하는 건 저의 일이 아닙니다." - 알랭 퐁텐, 레스토랑 매니저

'파리의 맛집'은 최소한 정부가 '코로나 패스'를 확인할 수 있는 규정을 마련하거나 업무를 도와줄 수 있는 인력을 지원해줘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마크롱 대통령의 발표에 담긴 또 다른 한 가지 조치는 의료진 백신 접종 의무화입니다. 모든 보건 시설이나 요양원에서 근무하는 사람들은 오는 9월 중순까지 백신을 접종해야 합니다. 백신을 맞지 않으면 일을 그만 두거나 벌금을 내야 합니다.

"우리는 자유와 평등을 믿는 나라에 살고 있습니다. 프랑스에서 누릴 수 있는 권리가 있습니다. 백신을 강요하는 건 이해할 수 없습니다. 만약 그렇다면 자유와 평등이라는 좌우명도 바꿔야 합니다. 독재 정권이 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 산드라 바로나, 요양원 간호사

현지시간 12일 '대국민 담화'를 발표하는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위)과 13일 백신 의무화 조치에 선을 그은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아래). 〈사진=연합뉴스〉현지시간 12일 '대국민 담화'를 발표하는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위)과 13일 백신 의무화 조치에 선을 그은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아래). 〈사진=연합뉴스〉

물론 "이 정도의 불편과 제한은 받아들이겠다"는 프랑스인도 있었습니다.

마크롱 대통령의 결단은 일단 백신 접종 촉진 효과 측면에선 성공한 듯 보입니다. 발표 후 백신 접종 신청 사이트에 예약이 폭주했습니다. 하루 동안 130만 명, 지난해 12월부터 지금까지 접종한 인원(약 3555만 명)의 3.5% 수준입니다. 예약자가 가장 몰렸을 땐 분당 2만 명을 기록했다는 소식입니다.

백신 접종률이 좀처럼 올라가지 않아 속이 타는 여러 나라에서도 '백신 의무화 카드'는 매력적으로 보일 수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독일 메르켈 총리는 현지시간 13일 "백신 접종은 자발적으로 이뤄질 것"이라면서 "강제할 경우 사람들의 신뢰를 훼손할 수 있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독일의 1회 백신 접종률은 59%로 프랑스와 비슷한 수준입니다. 다른 길을 택한 두 나라의 상황은 향후 어떻게 달라질까요?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