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올림픽 공동 개최의 부작용? 툭하면 갈등 빚는 평창-강릉

입력 2021-06-29 16:26 수정 2021-06-29 16:38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평창지역 사회단체들이 지난 28일 올림픽메달플라자에서 '2024강원동계청소년올림픽' 주사무소 강릉 선정을 규탄하고 있다.〈사진=평창군청 제공〉평창지역 사회단체들이 지난 28일 올림픽메달플라자에서 '2024강원동계청소년올림픽' 주사무소 강릉 선정을 규탄하고 있다.〈사진=평창군청 제공〉
어제(28일)저녁, 강원도 평창군 올림픽 메달플라자에 지역 주민 수십 명이 모였습니다. 손에는 '평창이 배제된 2024강원청소년동계올림픽 반대한다', '올림픽을 원안대로 진행하라'는 내용의 현수막을 들었습니다. 주민 대표들은 단상에 올라 삭발까지 감행했습니다.

이들에게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요?

평창지역 사회단체 대표들이 지난 28일 올림픽메달플라자에서 '2024강원동계청소년올림픽' 주사무소 강릉 선정을 규탄하며 삭발하고 있다.〈사진=평창군청 제공〉평창지역 사회단체 대표들이 지난 28일 올림픽메달플라자에서 '2024강원동계청소년올림픽' 주사무소 강릉 선정을 규탄하며 삭발하고 있다.〈사진=평창군청 제공〉

■ 2024동계청소년올림픽, 평창·강릉·정선 공동 개최

지난해 1월, 스위스 로잔에서 열린 제135차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총회에서 강원도가 2024년 동계청소년올림픽 개최지로 확정됐습니다. 역대 4번째 동계청소년올림픽입니다. 이전까지 3번의 대회는 모두 유럽에서 열렸고, 아시아 개최는 처음입니다.

2024년 1월 19일부터 2월 2일까지 강원도 평창과 강릉, 정선에서 올림픽이 열립니다. 설상과 빙상 7개 종목에서 15개 세부 경기를 치릅니다. 전 세계 70여 개국에서 2천600여 명의 선수단이 참가할 예정입니다. 강원도는 2018 평창동계올림픽 당시 만든 경기장 시설을 활용해, 최소한의 비용으로 효율적인 대회를 치를 계획입니다. 무엇보다 남북 강원도 공동 개최를 목표로, 평창동계올림픽에서 만들어진 평화 유산을 2024강원동계청소년올림픽에서 확대·발전시키겠다는 큰 꿈도 꾸고 있습니다.
지난해 1월, 제135차 IOC 총회에서 대한민국 강원도가 '제4회 동계청소년올림픽' 개최지로 최종 확정됐다.〈사진=문화체육관광부 제공〉지난해 1월, 제135차 IOC 총회에서 대한민국 강원도가 '제4회 동계청소년올림픽' 개최지로 최종 확정됐다.〈사진=문화체육관광부 제공〉

■ 주사무소 강릉 선정에 발끈한 평창


그런데 문제가 생겼습니다. 지난해 9월 출범한 대회 조직위원회가 주사무소를 강릉으로 선정했다면서 평창군이 강력히 반발하는 겁니다.

평창지역 주민들은 2024강원동계청소년올림픽 유치가 평창동계올림픽의 성공 개최 덕에 이뤄진 성과라고 주장합니다. 당연히 개최지역 3곳 가운데 평창이 주 개최지인데, 아무런 협의 없이 주사무소를 강릉에 두는 건 평창을 무시하는 처사라고 지적합니다. 무엇보다 강릉에 주사무소를 빼앗기면, 대회 개회식과 폐회식도 넘겨주게 될 것으로 우려하고 있습니다.

주민들은 평창이 배제된 올림픽 개최에 반대한다는 뜻을 분명히 밝혔습니다. 평창군이 올림픽 운영에 중심이 돼야 한다며, 집단행동 등 대응 수위를 점점 높여가고 있습니다.
평창군자율방범연합대가 지난 17일 평창군청 앞에서 '2024 강원동계청소년올림픽' 조직위 주사무소 평창 이전 등을 촉구하는 집회를 열고 있다.〈사진=평창군청 제공〉평창군자율방범연합대가 지난 17일 평창군청 앞에서 '2024 강원동계청소년올림픽' 조직위 주사무소 평창 이전 등을 촉구하는 집회를 열고 있다.〈사진=평창군청 제공〉

■ 평창올림픽 전후에도…평창-강릉 번번이 갈등

평창동계올림픽을 공동 개최한 평창과 강릉, 강릉과 평창 사이의 갈등은 이번이 처음이 아닙니다. 과거 동계올림픽을 유치했을 때, 강릉시는 대회 명칭에 '강릉'을 넣기를 원했습니다. '2018 평창·강릉 동계올림픽' 명칭 사용을 주장했지만, 받아들여지지는 않았습니다. 그러자 지역에서는 대회 명칭에서 '평창'도 빼고 '2018 동계올림픽'으로 칭했습니다.

2014년에는 정부가 경제성 등을 이유로 올림픽 개·폐회식 장소를 평창이 아닌 강릉으로 옮기려는 움직임이 있었습니다. 이번에는 평창군이 강력히 반발했고, 결국 수포가 됐습니다.
2019년 2월 9일 평창 올림픽 개·폐회식장에서 열린 2018평창동계올림픽 1주년 기념식 모습〈사진=JTBC 자료〉

2019년 2월 9일 평창 올림픽 개·폐회식장에서 열린 2018평창동계올림픽 1주년 기념식 모습〈사진=JTBC 자료〉


동계올림픽이 끝난 뒤에도 두 지역 간 갈등은 이어졌습니다. 쇼트트랙과 피겨스케이팅 종목이 열렸던 강릉 아이스 아레나에서 동계올림픽 1주년 기념행사를 여는 방안을 검토한 게 화근이었습니다. 춥고 눈이 오는 겨울 날씨를 고려해 행사 장소를 야외가 아닌 실내로 하려던 것이었지만, 평창군이 역시나 가만히 있지 않았습니다. 끝내 기념식은 평창에서 하고, 축하공연 등 대축제는 강릉에서 따로 개최하는 웃지 못할 촌극이 벌어졌습니다.
2019년 2월 9일 강릉 아이스아레나에서 열린 2018평창동계올림픽 1주년 기념 대축제에서 '피겨여왕' 김연아의 축사 모습〈사진=JTBC 자료〉

2019년 2월 9일 강릉 아이스아레나에서 열린 2018평창동계올림픽 1주년 기념 대축제에서 '피겨여왕' 김연아의 축사 모습〈사진=JTBC 자료〉


■ 대회 성공 개최 위해 '대화와 타협' 필요

대규모 국제 행사를 여러 지역이 공동으로 준비하면서, 주 개최지를 어디로 할 것인지는 매우 민감한 문제일 겁니다. 주민들의 자존심이나 상징적인 의미뿐 아니라, 지역 상권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 효과도 클 것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를 두고 지역 갈등과 소모적인 논쟁이 거듭되는 일은 분명 바람직해 보이지 않습니다. 더욱이 전 세계인 화합의 장을 마련하고 국제평화에 기여한다는 올림픽의 기본 정신을 생각하면 더욱 씁쓸해지는 대목입니다. 이제 2년여 앞으로 다가온 대회의 인지도를 높이고 국민적 붐을 슬슬 만들어나가기 위해서라도, 개최지역 사이의 반목보다는 대화와 타협이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2019년 2월 9일 평창 올림픽 개·폐회식장에서 열린 2018평창동계올림픽 1주년 기념식 모습〈사진=JTBC 자료〉2019년 2월 9일 평창 올림픽 개·폐회식장에서 열린 2018평창동계올림픽 1주년 기념식 모습〈사진=JTBC 자료〉
2019년 2월 9일 강릉 아이스아레나에서 열린 2018평창동계올림픽 1주년 기념 대축제에서 '피겨여왕' 김연아의 축사 모습〈사진=JTBC 자료〉2019년 2월 9일 강릉 아이스아레나에서 열린 2018평창동계올림픽 1주년 기념 대축제에서 '피겨여왕' 김연아의 축사 모습〈사진=JTBC 자료〉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