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시신훼손' 등 우리 군 발표와 다른 북한 주장…진실은?

입력 2020-09-25 20:13 수정 2020-09-25 21:04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앵커]

북한이 이렇게 사건 경위를 밝혔지만, 우리 군 발표와는 상당히 달라서 여전히 의문스러운 부분이 많죠. 외교안보를 취재하는 정제윤 기자와 짚어보겠습니다.

정 기자, 간단한 것부터 짚어보죠. 그러니까 북한은 시신을 훼손한 게 아니라는 주장이네요?

[기자]

그렇습니다. 그래픽을 보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보시면요.

북측은 오늘(25일) A씨를 향해서 사격한 뒤 확인을 해 보니까 시신은 부유물 위에 없었고 부유물만 태웠다, 이렇게 주장을 했습니다.

우리 군은 시신을 해상에서 부유물과 함께 훼손했다, 이렇게 주장했는데 확연히 다른 주장입니다.

[앵커]

그러면 시신의 행방은 여전히 알 수가 없는 겁니까?

[기자]

북측 설명으로 봤을 때 부유물 위에 혈흔만 남아 있었고 시신은 없었기 때문에 결국 시신의 행방은 모르겠다, 이런 주장을 한 겁니다.

우리 군 당국은 시신이 훼손된 뒤에 사실상 유기된 걸로 보고 있는데요.

국방부 장관의 설명 잠시 들어보시죠.

[서욱/국방부 장관 (어제 / 국회 국방위) : (훼손된 시신은) 그 해역에 있을 걸로 보여지는데…]

[기자]

박지원 국정원장도요. 사체가 표류했을 가능성이 있다면서 적극적으로 수색하겠다고 했습니다.

[앵커]

찾고 나면 부유물만 태웠다는 북한 주장이 사실인지 아닌지도 확인할 수 있겠네요.

[기자]

그렇습니다.

[앵커]

또 다른 것이 우리 군은 A씨가 월북한 거라고 판단을 하고 있는데, 오늘 북한 쪽 설명에는 이런 내용이 전혀 없던데요.

[기자]

그렇습니다. 우리 군은 A씨가 구명조끼를 입고 있었고 또 부유물 위에 올라타 있었고 여러 가지 근거를 봤을 때 자진 월북한 것 같다, 이렇게 설명을 했었죠.

또 정부 당국도 이례적으로 첩보 입수 경위까지 밝혔는데요.

북한 통신 신호를 감청할 정도로 A씨가 월북하려 한 근거를 갖고 있다, 이렇게 설명하기도 했습니다.

반면에 북측은 처음 한두 번 대한민국 아무개라고 얼버무리고는 계속 답변을 안 했다, 이렇게 설명했습니다.

A씨가 물론 지칠 대로 지쳐 있기는 했겠지만, 월북을 원했다면 왜 제대로 답을 하지 않았을지 또 북측이 이 사실을 숨겼을 가능성은 없을지 여전히 여러 가지 물음표가 붙는 상황입니다.

[앵커]

그리고 또 우리 군 당국 설명으로는 A씨 발견부터 사살까지 6시간이 걸렸는데, 북측 주장은 전반적으로 우발적인 사건이었다, 이런 톤으로 보이던데요.

[기자]

그렇습니다. 북측 설명을 보면요.

몇 시간 이런 부분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이 없습니다.

처음에 A씨에게 신분 확인을 요구했고요.

그 뒤에 답을 안 하고 도주하려 하니까 공포탄을 먼저 쐈고 그다음에 단속정 정장 결심 끝에 10여 발을 총탄을 사격했다라고 한 건데요.

뭔가 일사천리로 진행된 듯한 그런 느낌을 받습니다.

그런데 그렇지 않은 정황은 우리 국회 국방위원장의 설명에서 드러나는데, 잠시 들어보시죠.

[민홍철/국회 국방위원장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 : 군의 보고에 의하면 실종자를 바다 해상에서 놓쳤어요. 한 2시간 정도 더 찾았습니다. (재발견 뒤) 1시간 남짓 이제 어떤 상부의 지시나 이런 거를 있다가 사격을 했다는 거죠.]

그러니까 상부의 지시를 받았다는 우리 군 설명은 북측 총격이 우발적인 게 아니라 어떤 단계적으로 절차를 밟은 행위라는 걸 드러내기 때문에 북측이 이 부분을 의도적으로 걸러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가 없는 겁니다.

위 상부가 어딘지에 대해서 오늘 국정원장은 김정은 위원장이 사전에 보고를 받지는 못한 것 같다고 설명을 했습니다.

[앵커]

알겠습니다. 그런데 우리 군과 북한 측 주장이 이렇게 엇갈리는 이유가 뭡니까?

[기자]

일단 북측은 그 상황을 다 지켜봤기 때문에 가장 정확히 알고 있을 겁니다.

하지만 문제는 불리한 정보는 뺐을 가능성이 있는 겁니다.

우리 군 관계자 역시 북한 체제와 화법을 좀 이해해야 한다면서 답을 정해 놓고 넣고 빼고 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얘기했습니다.

[앵커]

알겠습니다.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정제윤 기자였습니다.

관련기사

연평도 실종 공무원 피격·사망…시신훼손까지 한 북한군 국정원 "공무원 피살, 김정은 지시 아니라 판단" 통지문 보내온 북한…"사격 후 부유물에 시신 없었다"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