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작년 동물실험 372만 마리…실험동물 '중증도 이상' 고통받아

입력 2019-06-26 11:31

실험동물은 마우스·래트 등 설치류가 84.1%…약품 안전성 평가 등에 사용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실험동물은 마우스·래트 등 설치류가 84.1%…약품 안전성 평가 등에 사용

작년 동물실험 372만 마리…실험동물 '중증도 이상' 고통받아

지난해 우리나라에서 시행된 동물실험에 372만 마리에 달하는 동물이 사용됐고, 시행 주체의 절반 가까이가 국가기관인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농림축산검역본부가 발표한 '2018년도 동물실험 및 실험동물 사용실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동물실험윤리위원회는 전국에 385개가 설치됐다.

일반 기업체가 41%로 가장 많았고, 대학 31.4%·국공립기관 19%·의료기관 8.6% 순이었다.

동물실험을 실제로 시행한 362개 기관이 지난해 사용한 동물은 모두 372만7천163마리로 집계됐다. 기관당 평균 1만296마리꼴이다.

이는 전년도보다 20.9% 증가한 것으로, 기관별로는 국가기관이 47%나 증가했다. 의료기관은 9.1% 감소했다.

실험동물을 종류별로 살펴보면 마우스·래트 등 설치류가 84.1%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어류 7.2%, 조류 6% 순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전국 기관에 설치된 359개 위원회는 총 3만3천825건의 동물실험계획서를 들여다봤다. 기관당 평균 심의 건수는 94.2건에 달해 전년도 80.8건보다 16.6% 증가했다.

심의 결과 대부분인 2만4천127건(71.3%)은 원안대로 승인됐다. 8천265건(24.4%)은 수정 후 승인됐고, 1천268건(3.7%)은 수정 후 재심을 요구받았다. 미승인된 사안은 165건으로, 전체의 0.5%에 그쳤다.

검역본부는 "전년 대비 위원회 설치기관 수와 운영률은 93.3%로 비슷한 수준"이라며 "동물실험계획의 원안 승인 비율을 감소하고 수정 후 재심과 미승인 비율이 증가하는 추세"라고 분석했다.

동물실험을 하기 전 반드시 제출해야 하는 동물실험계획서는 동물의 종류·사용 방법·실험 방법 등에 따른 '고통 등급'을 기재하게 돼 있다.

고통 등급은 위원회 승인이 필요 없는 A 그룹부터 '중증도 이상의 고통·억압'을 의미하는 D 그룹과 '극심한 고통·억압이나 회피할 수 없는 스트레스'를 뜻하는 E 그룹까지 다섯 단계로 나뉜다.

조사 결과 E 그룹의 동물실험에 36.4%가 사용됐고, D 그룹도 35.5%나 됐다. 전체 실험 10건 가운데 7건 이상이 동물에게 중증도 이상의 고통을 안겨줬다는 의미다.

지난해 조사부터는 동물실험을 목적별로도 나눠 집계했다. 그 결과 품질관리나 약품의 안전성 평가 등 법적으로 요구되는 필수 실험에서의 동물 사용이 38%로 가장 많았다.

기초 분야 실험은 29.4%, 기초 분야와 임상 분야의 중간 단계인 '중개 및 응용연구 실험'이 24.1%로 각각 나타났다.

법적으로 요구되는 필수 실험에서는 일반 기업체가 89.1%로 대부분을 차지했고, 기초연구 분야에서는 대학이 61.4%로 절반을 넘겼다. 중개 및 응용연구 분야에서는 일반 기업체가 31.2%로 가장 많았다.

검역본부는 "이번 조사 결과는 앞으로 동물실험의 윤리성을 높이고 정책 방향을 설정하는데 활용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동물실험시행기관·동물실험 수행자와 함께 동물실험을 윤리적인 관점에서 검토하고 과학적으로 실천하고자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연합뉴스)

관련기사

쇠봉으로 맞으며 도축장 끌려간 경주마…'동물학대' 논란 복제견 '메이', 서울대 실험실 다녀온 뒤 '폐사'…시민단체 고발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