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화력발전소 배출 미세먼지 잡는 친환경 설비 개발…효율 10배↑

입력 2019-05-21 14:05

기계연·두산중공업 연구 성과…창원공장서 실증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기계연·두산중공업 연구 성과…창원공장서 실증

화력발전소 배출 미세먼지 잡는 친환경 설비 개발…효율 10배↑

정부는 2022년 국내 미세먼지 배출량을 2014년 대비 30% 줄인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환경부는 이를 위해 전국 화력발전소의 배출가스 농도를 측정하며 기준치 이상의 가스가 배출되면 발전소 운전을 즉시 정지토록 할 계획이다.

이런 가운데 국내 연구진이 화력발전소에서 나오는 미세먼지를 배출 규제기준의 10분의 1 정도로 줄일 수 있는 친환경 설비를 개발했다.

한국기계연구원과 두산중공업은 화력발전소 굴뚝에서 나오는 미세먼지의 배출농도를 0.5㎎/N㎥ 이하로 저감하는 '고효율 정전 습분제거기'(EME)를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화력발전소 굴뚝에는 유해 입자를 제거하는 탈황장치가 설치돼 있다. 탈황장치 윗부분에는 습분(mist)제거기가 있어 관성이나 원심력을 이용해 오염물이 포함된 습분을 모아 없앨 수 있다.

그러나 기존 습분제거기로는 크기가 20㎛(마이크로미터·1㎛=100만분의 1m) 이하인 오염물은 제대로 거르지 못해, 입자크기가 10㎛ 이하인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진은 전기를 걸어 오염물을 모은 뒤 제거하는 기술을 적용해 이런 문제를 해결했다.

새로 개발한 습분제거기의 습분·오염물 제거 효율은 기존 제거기보다 10배 이상 높았다. 습분에 포함된 미세먼지 농도를 0.5㎎/N㎥ 이하로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개발한 설비를 두산중공업 창원공장에 적용해 이런 효율을 실제로 확인했다.

앞으로 연구진은 석탄화력발전소를 대상으로 설비의 성능을 실증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500㎿급 습분제거기의 설계를 마친 상태다.

연구를 진행한 김용진 기계연 책임연구원은 "석탄화력발전소의 미세먼지 배출농도를 LNG 발전소 배출 수준으로 청정하게 하는 기술"이라고 소개하며 "대용량 발전소뿐 아니라 산업용 미세먼지 저감장치로도 활용해 국내 미세먼지 저감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두산중공업의 송용진 전략/혁신부문장은 "화력발전소의 환경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친환경기술 개발을 위해 앞으로도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관련기사

'먼지 원인' 알루미늄 생산 줄이라고 했지만…실패한 중 당국 정부, '미세먼지 주범' 석탄발전 수명연장 사실상 중단 옥상에 정화기, 먼지 날까 소방훈련 축소?…'실효성' 논란 '가장 많이 배출하는 곳' 놔둔 채…경유차만 규제 집중?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