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한강하구 공동수역 해도 첫 완성…남북이 함께 사용

입력 2019-01-30 10:54 수정 2019-01-30 10:54

최적수역·암초 등 정보 담아…오늘 판문점 통해 北에 전달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최적수역·암초 등 정보 담아…오늘 판문점 통해 北에 전달

한강하구 공동수역 해도 첫 완성…남북이 함께 사용

남북이 함께 사용할 한강하구의 해도를 만들었다.

해양수산부와 국방부는 지난해 말 실시한 남북 공동수로조사 결과를 토대로 한강하구 남북 공동이용수역에 대한 해도 제작을 완료했다고 30일 밝혔다.

정부는 이날 판문점에서 남북군사실무접촉을 통해 북측에 해도를 전달할 예정이다.

앞서 남북은 각각 10명으로 공동조사단을 구성해 지난해 11월 5일부터 12월 9일까지 강화도 말도∼경기 파주시 만우리 구역(길이 약 70㎞, 면적 약 280㎢)에서 수로측량 및 조석관측 등 공동수로조사를 진행했다.

군사분계선이 존재하지 않는 한강하구는 1953년 정전협정 이후 65년간 우발적 충돌 우려 탓에 민간 선박의 항행이 제한됐으나, 지난해 9·19 군사합의를 통해 민간 선박의 자유 항행에 대한 군사적 보장이 합의되면서 이를 위한 필수정보인 해도 제작이 추진됐다.

이번 남북 공동이용수역 해도는 축척 1:6만으로 제작됐으며, 공동이용수역의 수심, 해안선, 암초 위치 등이 표기됐다.

조사결과 남북 공동이용수역은 전체적으로 크고 작은 간사지(썰물 시 드러나는 지역)와 사주(하천에서 유입된 토사가 해안과 나란히 퇴적된 해안지형), 1m 미만의 얕은 수심이 넓게 분포돼 있었다.

수심 2m 이상의 최적 항로는 강화도 말도부터 교동도 서쪽까지, 강화도 인화리에서 월곶리 앞까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국립해양조사원은 상반기 중 기존에 제작한 주변 해역 해도와 연계한 전자해도 및 종이해도를 추가로 제작할 계획이다.

강용석 국립해양조사원장은 "이번 해도가 남북 공동이용수역에서 안전하고 자유로운 항행을 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다만 이번에는 개략적 조사결과만 반영된 만큼 앞으로 지속적 정밀 조사를 통해 최신 정보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관련기사

남북, 한강하구 공동수로조사 완료…"새로운 평화협력공간 복원" 한강 하구, 65년 만에 열린 '물길'…남북 첫 공동조사 남북 공동 한강하구 수로조사, 썰물로 일정 지연 남북, 한강하구 공동수로조사 내일 시작…조사단 20명 투입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