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북 6차 핵실험으로 2차 지진…방사능 유출 가능성"

입력 2017-09-04 20:47 수정 2017-09-04 23:34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앵커]

어제(3일) 북한의 핵실험 이후 2차 지진이 있었느냐에 대해 분석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중국과 미국에 이어 다른 국내 연구기관은 북한의 6차 핵실험의 영향으로 2차 지진이 발생한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그러나 우리 기상청은 오늘 하루종일 2차 지진은 관측되지 않았다고 부인하다 조금 전 8시쯤 2차 지진이 있었다고 입장을 바꿨습니다. 2차 지진이 주목받는 이유가 있죠. 핵실험 이후 지하 갱도가 무너진 징후인데, 전문가들은 방사능 물질이 외부로 유출됐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박소연 기자입니다.

[기자]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어제 북한의 6차 핵실험으로 인한 인공지진 이후 2차 함몰 지진이 있었던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1차 지진 발생 8분이 지난 어제 오후 12시 38분 32초쯤 핵실험 장소로부터 반경 1㎞ 이내에서 규모 4.1의 지진파가 감지됐다는 것입니다.

2006년 북한의 1차 핵실험 때와 비슷한 폭발력입니다.

중국과 미국 지질관측 기구는 어제 핵실험 이후 곧바로 2차 함몰지진을 발표했습니다.

하지만 우리 기상청은 오늘까지도 관측하지 못했다는 입장을 고수하다 조금전에서야 2차 지진이 관측됐다고 입장을 바꿨습니다.

2차 지진은 갱도 붕괴로 발생한 것으로 보입니다.

전문가들은 무너진 갱도 밖으로 방사능 물질이 새어나와 주변 공기와 토양 지하수를 오염시켰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한국원자력안전위원회는 우리나라 동해상에서 방사성 물질 포집에 나섰습니다.

하지만 수소폭탄 폭발시 발생하는 삼중수소는 국내에 포집할 장비가 없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번 핵실험의 영향으로 백두산의 마그마가 활성화될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지진 전문가들은 백두산 마그마가 영향을 받으려면 인공지진의 규모가 7 이상이 돼야 한다고 설명합니다.

다만 백두산 지층구조에 대한 자료가 국내에 전혀 없어 섣불리 판단할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

관련기사

'최고 수위' 대응에도…"북, ICBM 추가 발사 가능성" 미, "북한과 거래하는 모든 국가와 무역중단 검토" 미 '세컨더리 보이콧' 압박…중, 대북 송유관 잠글까? 문 대통령 "'북핵문제' 중·러 정상과 소통방안 강구하라" 군, "핵항모 등 미 전략자산 전개"…공세적 투입 예고 미, 중국 통할 '최고 압박' 카드…북한에 효과 거둘까?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