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양계농가, 살충제 무분별 사용 가능성"…당국 관리는 '허술'

입력 2017-08-16 16:08

농가 교육·관리체계 등 미흡 지적, "교육·감독 강화 필요"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농가 교육·관리체계 등 미흡 지적, "교육·감독 강화 필요"

전국에서 살충제 성분이 검출된 달걀 생산 농가가 잇따라 추가 확인되면서 그동안 축산 농가들이 금지 약품을 별다른 제약 없이 광범위하게 사용했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정부 및 지자체 방역당국의 관리·감독 체계는 크게 허술해 식품 안전에 대한 국민 불안감을 키우고 있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 등은 전국의 산란계 사육농가 243곳을 대상으로 1차 조사를 벌인 결과 강원 철원과 경기 양주, 전남 나주 등 3개 농가에서 생산된 달걀에서 각각 살충제 성분인 피프로닐과 비펜트린이 검출됐다고 16일 밝혔다.

이에 따라 지금까지 달걀에서 기준치를 초과하거나 사용이 금지된 살충제 성분이 검출된 농가는 전국에서 6곳으로 늘었다.

앞서 14일 경기 남양주와 광주, 전북 순창(잔류허용 기준치 이내)의 산란계 농장 계란에서 피프로닐과 비펜트린이 검출된 바 있다.

◇ 살충제 성분 검출 농가 증가에 '파장·우려 확산'

산란계 농가들은 닭에 기생하는 진드기를 제거하기 위해 상당수 살충제를 사용하고 있어 정부의 추가 검사결과에 따라 '살충제 성분 검출 계란' 생산 농가가 더 나올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닭 진드기 등을 제거하려고 갖가지 살충제를 상당수 사육농가가 사용 중이라는 주장이 곳곳에서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강원지역 한 닭 사육 농민은 "고온다습한 날씨 탓에 닭 사육에 애를 먹자 얼마 전부터 닭 진드기를 제거하려고 살충제를 쓰는 농가가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고 귀띔했다.

이달 9일 한국소비자연맹의 보도자료를 보면 올 4월 열린 '유통 달걀 농약 관리방안 토론회'에 참여한 박용호 서울대 교수는 2016년 산란계 사육농가 탐문조사에서 61% 농가가 닭 진드기 감염과 관련해 농약 사용을 경험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박 교수는 따라서 사육농가를 대상으로 농약 사용에 대한 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 보도자료에서는 또 국립축산과학원 자료를 인용해 밀집 사육하는 국내 양계장의 특성과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닭 진드기 감염률이 매우 높아져 2016년 기준 국내 닭의 진드기 감염률이 94%에 달한다고 밝히기도 했다.

사육 농민들은 이같은 진드기 감염을 막기 위한 현실적인 어려움을 토로한다. 한가지 방제 약품을 사용하다가 면역이 생기면 다른 살충제로 바꾸는데, 이 과정에서 농림축산검역본부가 허용하지 않은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살충제는 다양한데 관련 기관들의 약제별 사용방법 등에 대한 교육이 부족하다는 불만의 목소리도 나온다.

농가들은 주먹구구식으로 방제 약품을 선택하는 것은 물론 적정 사용량에 대한 지식이 부족해 사용이 허가된 살충제라도 닭에 지나치게 많이 사용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실제로 산란계 농장의 살충제 사용과 관련해 방역 당국은 정기적인 교육보다는 상황에 따라 부정기적으로 교육하고 있다.

특정 제품을 홍보할 수 없다 보니 수의사나 유관단체 등에 개별적으로 약제 홍보를 하는 실정이다.

농식품부는 '살충제 계란' 사태가 터지자 뒤늦게 농가를 대상으로 닭 살충제와 관련한 교육에 나서기로 했고, 대한양계협회도 15일 오후 협회 인터넷 홈페이지에 관련 교육일정을 안내하는 게시물을 올렸으나 '뒷북 행정'이라는 지적을 피할 수 없게 됐다.

◇ 관리 감독 일원화·상시검사 체제로 개선

한 동물 방역 전문가는 사상 초유의 계란 판매 중단 사태를 불러온 이번 살충제 사태를 계기로 이원화된 계란 생산 농가 및 유통 관리·감독 시스템을 일원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재 계란을 생산하는 양계농가는 농식품부가, 유통되는 계란은 식품의약품안전처가 관리·감독하고 있다.

송창선 건국대 수의학과 교수는 "양계농가에서 살충제 사용이 광범위하게 이뤄지고 있다고 본다"며 "우리나라는 법은 있는데 상시 검사 시스템이 취약하고 관리·감독 체계도 농식품부와 식약처로 나뉘어 있어 제대로 관리가 안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송 교수는 "감염률이 가장 높은 붉은 닭 진드기는 야행성인데도 양계농가는 살충제를 낮에 뿌리다 보니 박멸이 어렵다. 이처럼 농가들이 약제 용법이나 진드기 특성을 잘 모른 채 이런저런 살충제를 마구잡이로 사용한다"며 "그래서 부작용을 초래하는 것"이라고 현 사태를 진단했다.

그는 "전국 산란계 농가 1천456곳 중 이제 겨우 240여곳에 대한 1차 조사결과가 나왔을 뿐이다. 앞으로 농약 성분 검출농가는 늘어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한 뒤 "이번 사태를 계기로 피프로닐 등 살충제 성분별로 명확한 사용 및 잔류허용 기준 마련하고, 농가 대상 교육도 강화하며, 상시 검사체계를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이해용 이승형 김호천 이우성 기자)

(연합뉴스)

관련기사

국내 밥상에도 '살충제 달걀' 파동…1400여 농가 전수조사 "옆집서 살충 효과 좋다기에"…다수 농가 사용 가능성 위험한 살충제 피프로닐…장기간·반복 노출 땐 치명적 사다 놓은 달걀, 먹어도 되나…닭고기는 문제없을까 AI 이어 살충제 달걀까지…소비자 '불안' 닭농가 '쇼크'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