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고리 1호기의 영구 정지를 시작으로, 정부가 탈원전 정책을 본격화할 것으로 보입니다. 후보 시절부터 문재인 대통령은 탈핵 에너지로 전환하겠다고 약속했죠.
이를 실현하려면 어떤 문제들을 풀어야 할 지, 윤정식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기자]
현재 우리나라의 총 전기 생산량은 54만5500GWh입니다.
이 가운데 30.7%는 원자력 발전소가 담당합니다.
문 대통령은 후보시절 탈핵 공약과 함께 이를 18%로 낮추겠다고 약속했습니다.
이명박 정부가 41%까지 올리겠다던 것을 정반대로 수정한 겁니다.
그 첫걸음으로 고리 1호기 영구정지가 이뤄졌고 다음 단계는 신고리 5, 6호기 공사 중단과 월성 1호기의 조기 폐쇄 여부입니다.
하지만 당장 전력수급 우려가 나옵니다.
건설 중단 가능성이 있는 원전 8기는 1만2400MW 규모인데 폐쇄가 추진되는 노후 화력발전소도 감안하면 1만5800MW 전력이 빠집니다.
이럴 경우 지난 정부가 예상한 2029년 최대 전력사용량에 3000MW가 부족합니다.
하지만 반론도 있습니다.
[서균렬/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 : 여태까지 전력수요예측이 제대로 됐는지 먼저 따진 다음에 신재생이나 LNG가 독일처럼 탈원전을 이루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봅니다.]
다만 신재생 에너지 비중을 늘리면 비싼 발전단가 등으로 전기요금 인상이 불가피한 만큼 사회적 합의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