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정부도 책임" 유엔서 터진 '메탄올 실명 노동자' 울분

입력 2017-06-09 22:19 수정 2017-06-09 23:05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앵커]

지난해 뉴스룸 탐사플러스에서는 휴대전화 하청 공장에 불법 파견된 노동자들이 보호장비 없이 메탄올을 사용하다가 실명 위기에 내몰린 사건을 보도했습니다.

☞ 탐사플러스ㅣ메탄올에 노출된 노동자들

이 메탄올 실명 사건이 언급되면서 인권 보고서가 조금 전 열린 유엔인권이사회 총회에 제출됐습니다.

김지아 기자입니다.

[기자]

유엔인권이사회 발표를 앞둔 김영신 씨가 긴장한 모습을 감추지 못합니다.

[김영신 : 저는 29살 한국인 김영신입니다. 2년 전 메탄올 중독으로 시력을 잃었습니다.]

주어진 1분 30초 안에 실상을 알리기 위해 영어 발음대로 쓰여진 원고를 통째로 외웁니다.

[김영신 : 파견이 불법인지 아무도 알려주지 않았고, 메탄올이 위험하다는 것도 알려주지 않았습니다.]

휴대폰 부품 하청 공장에 불법 파견된 지 3주 만에 오른쪽 눈을 완전히 실명한 김 씨는 원고를 읽기도 쉽지 않습니다.

[김영신 : 한국에는 저처럼 시력을 잃은 젊은 노동자들이 최소 5명이 더 있습니다.]

잠시 후 열린 총회에서 김 씨가 외운 더듬더듬 연설문을 읽어갑니다.

[김영신 : 많은 분들이 삼성이나 엘지 핸드폰을 가지고 계실 겁니다. 저는 당신들의 핸드폰을 만들다가 시력을 잃고 뇌 손상을 입었습니다.]

유엔 총회 연단에서 울려 퍼진 건 국내 대기업들의 이름만이 아니었습니다.

[김영신 : 한국 정부도 이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합니다. 왜냐하면 사람의 목숨은, 우리의 목숨은 기업의 이익보다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오늘(9일) 열린 총회에서는 유엔인권이사회 산하 실무그룹이 조사한 국내 대기업들의 인권 침해 현황을 담은 보고서도 제출됐습니다.

유엔 측은 메탄올 피해자 사례와 노조 탄압 등을 언급하며 원청 대기업들이 인권을 보호하려는 의지가 부족하다고 지적했습니다.

관련기사

'소래포구 어시장 화재' 그 후…무허가 영업 갈등 계속 아베, 우여곡절 끝에 '원전 재가동'…피폭 사고 불안감 이미 4개월 전에도 광운대역서…철도공사 직원 사고 제2의 구의역 된 광운대역…시민 분향소엔 '추모 발길' 서울 동대문 LPG충전소 안에서 택시 돌진…3명 부상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