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저금리 시대 끝…"미국 새로운 정부 출범 후 금리급등 유의해야"

입력 2016-12-05 14:13

경제전문가들, 은행업 리스크 점검 세미나

"미 신 행정부 출범…경제·금융 환경 악화 우려"

"미 금리인상 가능성으로 가계부채 부실화 우려"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경제전문가들, 은행업 리스크 점검 세미나

"미 신 행정부 출범…경제·금융 환경 악화 우려"

"미 금리인상 가능성으로 가계부채 부실화 우려"

전문가들은 미국의 대통령 선거 이후 대내외 불확실성이 높아짐에 따라 금리 급등 리스크가 우려된다고 입을 모았다.

은행연합회와 한국금융연구원, 국제금융센터가 5일 공동으로 개최한 '미국 신정부 출범 이후 은행산업 전망과 리스크 요인 점검 세미나'에서 경제 전문가들은 이 같은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이날 세미나에서 김완중 하나금융연구소 팀장은 "대외발 금리상승 압력과 가계부채 대책 등으로 지난 2014년 이후 지속돼 온 금리하락 추세가 상승세로 전환되고, 주택공급물량 급증과 함께 그간 활성화됐던 주택시장도 조정 가능성을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향후 글로벌 경기부진 장기화, 보호 무역주의 확산, 경제주체 심리위축 등 경제·금융환경 악화가 우려된다"며 "한계기업과 가계부문에 대한 리스크 관리가 강화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강경훈 동국대 교수 역시 "세계경제의 부진 속에서 미국의 보호주의 확대 등으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국내 기업의 수익성이나 투자 등이 저조세를 지속할 것"이라며 "미국 금리인상에 따른 가계부채 문제 심화, 기업 수익성 악화에 따른 구조조정 등의 위험요인이 결합돼 큰 위기로 비화될 가능성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석준 모건스탠리 인터내셔널 증권부문장 역시 "도널드 트럼프의 미 대통령 당선 및 공화당의 국회 장악은 글로벌 금융시장에 많은 변화를 초래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새로운 정부의 정책방향에 따라 미치는 영향이 다를 것이므로 여러 가지 시나리오를 고려해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미국의 금리인상 여파가 국내 시장금리 상승으로 이어질 경우,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가계부채 부실화 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이에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특히 은행들의 경우 가산금리를 올려 수익성을 보전하기 보다는, 수익구조 다변화 등으로 통해 질적 성장을 도모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홍재문 은행연합회 전무이사는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로 금리가 급등할 가능성이 높고, 이 경우 취약·한계계층의 상환능력이 악화될 것으로 우려된다"며 "은행들은 가계대출 중심의 규모 위주의 경쟁을 지양하고, 자본수익률 제고 및 수익구조 다변화 등 질적성장에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서정호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미국의 금융정책 방향은 규제 완화 방향으로 전환될 것으로 보이며, 금리급등 가능성이 국내 은행들의 핵심적 리스크"라며 "이에 따른 저소득층·다중채무자·한계기업의 상환능력 악화 등에 대응헤 은행들의 자기자본 관리 등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최근 은행 대출금리 상승은 주로 시장 조달금리 변동에 기인한다"며 "은행 가산금리 상승이 반드시 이익증가로 이어지는 것이 아니므로 은행 수익원 다각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강형구 금융소비자연맹 금융국장은 "가계부채 관리의 패러다임을 바꿔 소비자들의 금융비용 부담을 경감하고 금융정보의 제공을 확대해 소비자 스스로 본인의 채무와 가격을 관리하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채무 상환이 용이하도록 소비자 선택권을 확대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고, 빚을 갚지 못하는 채무자에게는 과감한 채무조정을 통해 금리상승 리스크를 극복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뉴시스)

관련기사

11·3 대책 이후 부동산시장 '급랭'…추가조치 요구도 부동산 대책 한 달…미분양 가능성 등 시장 얼어붙나? 정치권 탄핵 정국 돌입…경제에 어떤 영향 줄까 임종룡 "시장금리 상승 지속 우려…단호한 안정조치"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