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민영화 성공' 우리은행, 과점주주 중심 집단경영…잘 굴려갈까?

입력 2016-11-14 11:42

우리은행, 과점주주 주도 집단경영체제 돌입

새로운 지배구조 모델 전망은 엇갈려

과점주주 의견 조율…수익성 vs 안정성 접점 찾기 관건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우리은행, 과점주주 주도 집단경영체제 돌입

새로운 지배구조 모델 전망은 엇갈려

과점주주 의견 조율…수익성 vs 안정성 접점 찾기 관건

'민영화 성공' 우리은행, 과점주주 중심 집단경영…잘 굴려갈까?


우리은행의 민영화 작업이 지분을 쪼개 파는 과점주주 방식을 도입한 끝에 15년 만에 성공했다.

금융위원회는 과점주주 방식의 지분 매각을 추진, 동양생명·미래에셋자산운용·유진자산운용·키움증권·한국투자증권·한화생명·IMM PE(사모펀드) 등 7곳이 우리은행의 새 주인이 됐다.

이들 7개 투자자가 인수한 우리은행 지분은 29.7%로 정부의 우리은행 지분은 21.36%로 줄어든다.

정부는 당초 발표한 대로 민간 주도의 자율경영을 위해 과점주주 중심으로 경영이 이루어지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다음달 중순 매각 절차가 끝나는 대로 예금보험공사와 우리은행 간 경영정상화이행약정(MOU)은 즉시 해제할 계획이다.

향후 경영은 과점주주들이 선임하는 사외이사들이 주도한다. 한명의 주인이 아닌 여러 명이 협업하는 집단경영체제에 돌입하는 셈이다. 단 7곳의 과점주주 중 미래에셋자산운용과 유진자산운용은 추천권을 행사하지 않았다.

금융권은 국내에서는 사실상 처음 시도되는 이 같은 지배구조가 제대로 작동할지 예의주시하고 있다. 결국 새로운 지배구조 모델의 성공 여부는 과점주주들에게 맡겨져 있어 합리적인 의사결정 구조가 수반돼야 한다는 평가다.

전망은 엇갈린다.

정부는 다양한 성격의 과점주주들이 기업가치 제고라는 공동의 목적을 가지고 집단지성과 경험을 통해 '합리적인 경영'을 추구하는 새로운 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하지만 과점주주 간 이해관계가 엇갈려 혼란만 가중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시너지 창출에 중점을 두고 투자한 보험사와 증권사는 향후 영업 전략을 두고 의견이 대립할 수 있다.

수익성과 안정성이라는 두 가지의 영업 전략에서 균형을 찾는 것도 관건이다. 수익성을 우선시하는 재무적 투자자는 장기적인 은행 경영보다 배당을 늘리는 데에만 관심이 쏠릴 수 있다. 실제 두 곳의 자산운용사는 단기적인 투자금 회수를 위해 사외이사 추천권을 포기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 입김이 배제될지에 대한 의구심도 여전하다. 이번 매각 뒤에도 예금보험공사는 지분을 21% 소유한 최대주주이기 때문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정부는 지분 매각 이후에는 경영에 간섭하기 않겠다고 공언하고 있지만 금융권의 불신은 여전히 남아 있다"며 "당장 차기 행장이 결정되는 내년 이사회가 첫 시험대가 될 것이다"고 말했다.

우리은행은 다음달 30일 주주총회를 열어 과점주주 추천 사외이사를 선임할 예정이다. 금융위는 우리은행 이사회를 과점주주 추천 사외이사 중심으로 운영하고 차기 행장 선임을 위한 임원후보추천위원회도 사외이사 중심으로 꾸리겠다고 밝혔다.

(뉴시스)

관련기사

우리은행, 4전5기 끝에 민영화 성공…7곳에 30% 매각 우리은행 15년 만에 민영화 성공…지분 29.7% 매각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