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전경련 위기감 커지는데…대기업들 "내 코가 석자" 뒷짐

입력 2016-10-17 13:25

'대기업 책임론' 대두에도 전경련 혁신 등 해법찾기 수수방관

기업들 "내수·수출 부진에 돌발악재에 여력없다" 분위기

원로들 "주인인 회원사가 개입해야 혁신 및 발전 가능" 충고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대기업 책임론' 대두에도 전경련 혁신 등 해법찾기 수수방관

기업들 "내수·수출 부진에 돌발악재에 여력없다" 분위기

원로들 "주인인 회원사가 개입해야 혁신 및 발전 가능" 충고

전경련 위기감 커지는데…대기업들 "내 코가 석자" 뒷짐


거센 해체론에 직면한 전국경제인연합회 위기가 심화하면서 비난의 화살이 회원사인 주요 대기업으로 향하고 있다.

전경련을 향한 정치권 안팎의 해체 압박이 커지고 회원사 줄사퇴가 현실화하고 있음에도 회원사들 대부분은 조직 혁신 등을 위한 해법 찾기에 나서기 보다는 사실상 모르쇠로 일관하며 상황을 수수방관하고 있다는 것이다.

대기업들은 경영 위기를 극복하기도 벅차다며 전경련 파문에 적극 나서기 부담스럽다는 반응만 보이고 있다.

17일 재계에 따르면 전경련을 탈퇴했거나 탈퇴 의사를 밝힌 회원사는 이날 현재 15곳 정도다.

이 중 이미 탈퇴한 회원사는 9곳이다. 인천국제공항공사와 한국전력, 한국석유공사, 가스공사, 서부발전, 에너지공단, 석유관리원, 산업단지공단, 선박안전기술공단이다.

산업은행과 기업은행, 수출입은행, 신용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 5곳은 올 해 국회 국정감사에서 탈퇴의사를 밝혔다. 세종문화회관은 이미 전경련에 탈퇴 신청을 했다.

회원사 탈퇴 러시는 전경련이 자초한 측면이 크다. '재계의 맏형' 역할을 하기는 커녕 대기업을 압박해 각종 모금을 벌이는 등 본래 기능을 상실한 때문이다.

그런데 전경련 해체론이 불거진 그간 과정을 살펴보면 회원사인 대기업들 책임도 적지않다는 목소리가 많다. 이들 대기업의 '맞장구'가 없었다면 전경련이 과연 그런 일들을 진행할 수 있겠냐는 것이다.

최근 불거진 미르·K스포츠재단 논란만 봐도 그렇다. 삼성과 현대차 등 대기업은 미르재단에 486억원, K스포츠재단에 288억원을 출연했다. 전경련이 미르·K스포츠재단 파문의 방패 노릇을 한 탓에 가려졌을 뿐 사실상 이들 대기업이 논란의 직접 당사자라는 것이다.

일부 회원사는 '대기업 책임론'에 수긍하는 입장이다.

익명을 요구한 한 대기업 임원은 "전경련이 회원사를 대신해 굳은 일을 해 온 측면이 분명 있지 않느냐"며 "전경련이 스스로 앞장서서 정권의 시녀 노릇을 했다고 탓할 상황은 아니라고 본다"고 말했다.

하지만 전경련 파문에 대기업이 직접 나서 '교통정리'를 하기엔 현실적 어려움이 크다는 하소연도 있다. 자신들 눈 앞에 닥친 경영상 어려움도 극복하기 벅차다는 논리다.

이들의 주장이 엄살만은 아니다. '국가대표' 기업 두 곳의 현실만 봐도 그렇다.

기업 서열 1위 삼성그룹은 이건희 회장이 병석에 있는 상황에서 주력 기업인 삼성전자의 갤럭시노트7 단종 사태 등으로 악재가 겹쳤다. 2위인 현대차그룹 역시 내수와 수출 동반 침체 상황에서 엔진결함 은폐 의혹 등으로 곤혹을 치르고 있다. 이들의 위기가 한국 경제의 위기라고 말할 정도다.

그럼에도 대기업 회원사들은 전경련 사태를 남의 일처럼 여기고 뒷짐만 져서는 안된다는 지적이 많다. 전경련의 문제는 결국 대기업 자신의 문제라는 인식을 갖고 조직 혁신 및 발전 방안 등을 찾기위해 서로 머리를 맞대야 한다는 한다는 것이다.

김석중 전 전경련 상무는 "전경련의 주인은 사무국이 아니라 회원사들이다. 주인이 나서는게 이번 사태를 풀 수 있는 정공법이다"며 "피고용자인 전경련이 자체적으로 혁신할 것이라는 기대하는 것은 너무 순진하다"고 말했다.

(뉴시스)

관련기사

국감 막판 격돌…'두 재단 의혹' 전경련은 해산 촉구 전경련에 대한 전직 '재계 입'의 쓴소리…"인적 쇄신하라" 국정감사 종반, '문화계 블랙리스트' 실체 싸고 공방 '전경련 논란' 공기업 줄탈퇴…국책은행도 탈퇴 검토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