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한국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 증가율, 주요국보다 높다"

입력 2016-09-27 15:53

금융위기 이후, 국내서 가계부문 부채축소 과정 부재
"국내 가계의 총소득대비 가계부채 비율, 100% 상회"
"은행지주 합산 2016년 ROE, 전년 대비↑ vs 내년 대비↓"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금융위기 이후, 국내서 가계부문 부채축소 과정 부재
"국내 가계의 총소득대비 가계부채 비율, 100% 상회"
"은행지주 합산 2016년 ROE, 전년 대비↑ vs 내년 대비↓"

"한국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 증가율, 주요국보다 높다"


국내 가계부채 증가 속도가 주요국보다 훨씬 빠르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에 은행업종 주식의 상승여력이 제한적이라며 '중립' 의견이 나왔다.

27일 이베스트투자증권에 따르면 2015년말 기준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중은 85% 안팎이다.

이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주요 국가에 비해 크게 높은 수준은 아니지만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비중은 OECD 평균을 크게 웃돌고 있다.

더군다나 최근 몇 년간 국내 가계부채 증가 속도가 주요국보다 월등히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위기 이후 미국 등 주요국과는 달리 가계부문의 부채축소(deleveraging) 과정이 없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전배승 이베스트투자증권 연구원은 "국내 가계의 가처분소득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50% 내외이고 총 소득대비로도 100%를 웃돈다"며 "소득증가율이 가계대출 금리수준을 밑돌고 있기 때문에 현 상태가 유지되면 자체적으로 소득대비 부채비율이 하락하기 힘든 구조"라고 설명했다.

한국보다 가계부채 부담이 높은 나라로 덴마크, 노르웨이 등 북유럽 국가들을 꼽을 수 있다. 이들 국가는 전통적으로 장기모기지 대출이 일반화돼 있고 연금 등 사회복지시스템이 잘 구축돼 있어 가계부채 위험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분석된다.

진 연구원은 "가계부채 수준이 높은 국가들의 공통적인 특징은 공격적인 통화완화 시행과 함께 최근 몇 년간 주택가격이 큰 폭으로 상승했다는 점"이라며 "스웨덴과 덴마크는 각각 2009년과 2012년부터 마이너스 금리정책을 시행했고, 확대된 유동성이 부동산시장으로 유입되면서 주택가격 상승률이 높게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한국도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2016년 2분기 이후 거래량이 증가하면서 월간 가격상승폭이 확대되고 있다.

진 연구원은 "금융 측면에서 국내 주택가격 상승배경은 저금리를 채택한 국가들과 다르지 않다"며 "낮아진 금리수준으로 주택구매여력이 개선됐고, 주식 및 금융상품 성과가 부진함에 따라 부동산시장으로 자금이 집중되고 있다. 그 과정에서 가계대출도 급격히 늘었다"고 강조했다.

다만 은행의 건전성지표는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진 연구원은 "은행지주 합산 2016년 예상 자기자본이익률(ROE)은 6.8%로 전년(6.4%)보다 개선될 것이지만 내년에는 6.5%로 올해보다 하락할 전망"이라며 "제한적인 상승여력을 감안해 업종의견 '중립'을 유지한다"고 덧붙였다.

(뉴시스)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