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박원순, 용산공원 사업에 두번째 제동…강공책 먹힐까?

입력 2016-08-31 15:28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박원순, 용산공원 사업에 두번째 제동…강공책 먹힐까?


박원순, 용산공원 사업에 두번째 제동…강공책 먹힐까?


박원순 서울시장이 31일 기자회견을 갖고 정부가 추진하는 용산공원 사업에 다시한번 제동을 걸었다.

지난 5월 국토교통부의 '용산공원 콘텐츠 선정 및 정비구역 변경' 공청회에서 나온 용산공원 정부 조성안에 반대하며 정부를 압박한데 이어 두번째다.

당시 서울시는 미군기지 이전이 끝나는 내년말부터 2027년까지 용산공원 부지에 8개 부·처·청을 건립하겠다는 국토부의 계획을 공원조성 기본이념과 콘텐츠 선정안의 연계성 모호 등을 이유로 재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용산공원이 들어설 현 용산미군기지 부지는 러시아, 일본 그리고 미국 등 3국의 군대가 차례로 진주한 우리나라의 굴곡진 역사를 상징하는 공간이다. 서울시는 그동안 정부와 시민사회를 향해 굴곡진 역사도 역사의 일부분이라며 이를 기반으로 미래 콘텐츠를 미군기지 이전후 조성되는 공원 안에 채워넣어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박 시장은 이날 기자회견을 통해 여기서 한발 더 나아가 잔류가 유력한 미군부대 시설을 문제삼았다.

현재 미군 반납부지 등을 포함한 358만㎡에 이르는 용산공원 예정부지는 당초 모두 공원으로 조성될 예정이었다. 이는 2003년 한·미정상간 이전합의에 따른 모든 미군부대 시설이 경기 평택으로 이전하는 것을 전제로 해서다.

하지만 한미간 군사적 이해관계에 따라 일부 시설이 남는 것으로 가닥을 잡았다.

현재 용산공원내 잔류를 확정한 미군부대 부지는 22만㎡에 달한다. 미 대사관부지와 헬기장, 드래곤힐 호텔, 출입방호부지 등이 이 안에 포함된다.

여기에 미군 측은 한미연합사령부 부지도 추가로 요구하고 있다.

미군이 점찍은 잔류부지는 용산공원의 허리부분에 몰려있다. 박 시장은 이 경우 공원이 완성되더라도 허리만 잘록한 기형적 형태가 될 수 있다면서 문제를 제기했다.

정부 부처 부지 93㎡와 미군부지 22만㎡를 합한 115만㎡는 민간이 쉽사리 들어설 수 없는 공간이 된다며 '단절'을 주장했다.

박 시장은 정부 기관 입주때와 마찬가지로, 미군부대 잔류가 '역사 공원'이라는 용산공원의 당초 콘셉트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논리를 펼치고 있다.

그는 "용산미군기지 반환은 단순한 부지의 반환이 아닌, 100여년 이상 역사적 흐름을 간직한 수도 중앙의 광활한 100만여평(약 358만㎡) 대지에 대한 공간주권의 회복인 동시에 정체성의 회복"이라며 용산공원 조성의 의미를 각인시켰다.

박 시장이 이처럼 정부는 물론 민감한 미군까지 건드리는 강공책을 펼치는 것은 왜일까.

용산공원은 국가사업이기에 서울시가 당사자가 아니다. 사실상 제지할 방법이 없다. 하지만 서울 한복판에서 벌어지는 사업 특성상, 간섭해야할 것은 간섭하겠다는 입장이다.

이는 용산공원과 관련해서 여론이 나름 우호적이라는 판단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국토부의 공원 조성안에 대해서는 진보, 보수를 막론하고 비토하는 여론이 우세하다. 일부 미군부대 시설 관련해서도 이는 마찬가지다.

박 시장은 이같은 점을 의식한 듯 기자회견에서 "지난 (국토부)발표 이후 대부분의 언론이 반대했고 시민들이 반대하고 있다"며 "정부가 서울시의 충심어린 제안을 받아들일 것"이라고 자신감을 숨기지 않았다.

미리 배포한 자료로는 "현 세대에 한정된 근시안적인 개발계획으로 외세가 잔존해 민족공원의 근간을 훼손하는 일은 없어야 한다"며 민족주의까지 끌어들였다.

박 시장의 강공책은 어떤 결과를 만들까. 정부의 대응이 주목된다.

(뉴시스)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