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탈북' 북한 해외 주재원 최근 3년 40여 명…태영호 다음은?

입력 2016-08-21 17:37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북한 해외 외교관과 외화벌이일꾼들의 이탈이 김정은 체제 들어 늘어나는 추세다. 특히 북한 대(對) 서방 외교의 전략적 요충지인 영국주재 북한대사관의 실세였던 태영호 공사까지 한국으로 망명하면서 그 파장이 주목된다.

21일 대북 소식통에 따르면 해외에 체류하고 있는 북한 외교관과 관리자급 외화벌이일꾼들 중에 가족 동반 망명을 고민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달 잠적해 이달 초 가족과 함께 한국에 들어온 태 공사뿐만 아니라, 지난달 러시아에서 잠적했던 주러시아 북한대사관 3등 서기관도 제3국을 거쳐 한국에 들어온 것으로 알려졌다. 유럽에서 20여년 체류하며 노동당 자금을 관리했던 핵심 자금책도 지난해 수십억원을 챙겨 자녀와 함께 제3국에 몸을 숨긴 것으로 전해졌다.

정보 당국에 따르면 김정은이 북한 체제를 장악한 이후 늘어난 해외 주재원들의 이탈은 수치로도 나타난다. 국가정보원은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2013년 한 해 8명이었던 탈북 해외 주재원이 2014년에는 18명으로 급격히 증가했다고 보고했다. 또한 지난해에는 10월까지 집계된 탈북 해외 주재원이 20명에 달했다고 밝혔다.

이런 가운데 지난 1월 북한의 4차 핵실험과 장거리 탄도미사일 시험 발사 등을 이유로 국제사회가 북한에 대한 제재의 고삐를 조이자 활동이 위축된 해외 주재원들의 탈북에 속도가 붙고 있다는 관측이다.

지난 3월 채택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제재 결의 2270호는 북한과의 금융 거래를 모두 금지하는 것에서 나아가 외교적 관례로서 인정해주던 '외교 행낭'도 북한에 한해 봐주지 않겠다고 으름장을 놓았다. 외교 행낭을 통한 불법적인 외화 운반을 차단하겠다는 것이었다. 여기에다가 불법 행위에 연루될 경우 외교관이라도 봐주지 않고 추방하겠다고 경고했다.

간부급 해외 주재원들의 활동도 크게 위축됐다. 본국에 상납금을 보내야 하는 위치에 있지만, 국제사회의 대북제재로 해외에서의 활동이 제약을 받으면서 이른바 할당량을 채우기 어려워졌다는 관측이 꾸준히 제기됐다. 지난 4월 스리랑카 정부가 16만8,000달러(약 1억8,800만원)의 현금 반출을 시도하던 북한인 2명을 공항에서 체포해 돈을 압수한 사건 등이 대표적이다.

간부급뿐만 아니라 해외로 파견된 일반 노동자들의 탈출도 계속된다. 지난 4월 중국 북한식당에서 여성 종업원과 지배인 등 모두 13명이 집단 탈출해 한국에 들어온 데 이어, 다음달에서 중국 북한식당 종업원 3명이 국내로 들어왔다. 이밖에 다른 사업장에서도 여성을 중심으로 한 북한 노동자들의 탈출은 계속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은 태 공사의 망명 사실이 공개된 지 사흘 만인 지난 20일 조선중앙통신 논평을 통해 그를 파렴치한 범죄인이라고 주장하며, 그의 망명을 '개인적 일탈'로 규정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미래가 보장됐던 고위급 외교관의 탈북으로 인한 파장은 적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혁명 1세대의 자녀로, 출신 성분 만으로 많은 것을 누렸던 2세대 엘리트들이 자녀 미래에 대한 걱정으로 북한을 등지는 사례가 이어질 거라는 관측이다.

다만 북한 전문가들은 이러한 흐름이 북한 김정은 정권의 균열로 이어질 거라는 것은 성급한 판단이라고 입을 모은다. 지난 1997년 북한 고난의 행군 시절, 최고위급 인사였던 황장엽 당시 당 비서가 망명한 이후에도 북한 체제는 유지됐다는 것이다.

(뉴시스)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