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대기업 집단 기준 상향…재계 '환영' vs 중소 '울상'

입력 2016-06-09 20:58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앵커]

지금까지 대기업 집단이라고 하려면 자산 5조 원을 넘어야 했는데, 앞으로 이 기준이 10조 원으로 올라갑니다. 정부는 경제 규모가 커진 걸 반영했다지만, 대기업에서 다시 중견기업이 된 회사들이 대기업으로서 받던 규제에서 해방돼 결국 중소기업들의 골목 상권을 침해하는 건 아닐지 걱정입니다.

성화선 기자입니다.

[기자]

IT 기업인 카카오, 식품업체 하림, 화장품업체 아모레퍼시픽은 자산 5조 원이 넘어 대기업으로 불렸습니다.

하지만 앞으로는 중견기업이 됩니다.

자산 10조 원 이상으로 기준이 올라가기 때문입니다.

농협을 뺀 공기업도 모두 빠지면서, 대기업 집단의 수는 65개에서 28개로 줄어듭니다.

대기업은 계열사 간 순환출자와 채무보증이 제한되고 추가로 38개 법률의 규제를 받는데, 37곳이 여기서 풀려나는 겁니다.

[신영선 사무처장/공정거래위원회 : 대기업 지정 집단의 자산 합계는 같은 기간(2007년~2015년) 101%, 약 2배 증가했습니다.]

다만, 총수일가를 위한 일감 몰아주기 규제 등은 지금처럼 자산 5조 원 이상이면 적용됩니다.

중소기업들은 걱정이 큽니다.

중소기업중앙회는 대기업 수가 2012년부터 60여 곳을 유지했는데, 대상 기업을 확 줄인 것은 시기상조라는 입장입니다.

또 대기업에서 빠진 기업들이 중소기업 업종에서 영역을 확대할 것이란 비판도 나옵니다.

관련기사

대기업집단 기준 상향, 중견기업 '피터팬 증후군' 사라질까 경제5단체, 대기업집단 기준 상향에 '긍정적' '혼돈의 정책'…중기, 대기업집단 기준 완화에 강력 반대 정부 "대기업기준 상향, 골목상권에 미치는 영향 제한적"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