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성분 공개 5%도 안돼…생활화학제품 관리체계 '구멍'

입력 2016-05-17 09:30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앵커]

그런가하면 한국 피앤지가 판매하고 있는 섬유탈취제, 페브리즈에 대한 유해성 논란이 커졌고요. 환경부가 뒤늦게 성분 공개를 요청했죠. 피앤지 측은 이번주 안에 발표하겠다고 하고 있는데요. 유해 화학물질 성분에 대해 제품을 사면서 소비자가 알수 없는 우리의 현실도 다시 따져봐야합니다.

윤영탁 기자입니다.

[기자]

페브리즈의 성분 중 '제4기 암모늄클로라이드'는 기존에도 지속적으로 유해성 논란이 있어 왔지만 제품엔 '미생물 억제제'로만 표기됐습니다.

정부가 유해화학물질에 포함시키지 않아 제조사 입장에선 공개 의무가 없었기 때문입니다.

사용할 경우 반드시 공개해야할 성분은 환경부가 정한 유독물질 성분 870여 종, 발암물질 성분 120여 종 등으로 전체 화학물질의 5%도 안됩니다.

제조사가 스스로 밝히지 않는 한 어떤 성분을 얼마만큼 썼는지 알 수 없기 때문에 생활화학제품의 모든 성분 공개를 의무화 해야 한다는 주장이 거셉니다.

그나마 탈취제는 정부가 가습기 살균제 사태 후속조치로 지난해부터 15개 제품군을 위해우려제품으로 지정해 유해성분을 표시하게 됐습니다.

에어컨 향균필터나 핫팩, 물티슈 등은 여기서도 빠져 있어 성분 공개의 근거가 전혀 없습니다.

소비자들이 불안이 시간이 흐를 수록 걷잡을 수 없이 커지는 이유입니다.

환경부와 복지부 등 4개 부처로 관리 주체가 나뉜 것도 사각지대를 만든 원인으로 꼽힙니다.

관리 권한과 책임을 한 곳으로 모아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습니다.

관련기사

수사 확대하는 검찰, 오늘 홈플러스 실무자 2명 소환 2012년 검찰 고발에도 더딘 수사…4년 허송세월, 왜? '살균제 수사' 대형마트로 확대…피해자 첫 집단 소송 "온정주의로 흐를 수…" 환경부 답변에 분노한 피해자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