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성분은? 유해성은?…정부, 화학물질 관리체계 '구멍'

입력 2016-05-16 20:42 수정 2016-05-16 23:22

정부 '페브리즈 성분' 뒤늦게 공개 요청
제조사 P&G "이번 주 내 공개할 것"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정부 '페브리즈 성분' 뒤늦게 공개 요청
제조사 P&G "이번 주 내 공개할 것"

[앵커]

섬유 탈취제로 널리 쓰이는 '페브리즈'에 폐를 손상시킬 가능성이 있는 물질이 쓰였다는 주장을 지난주에 전해드린 바 있습니다. 환경부는 뒤늦게 제조사인 P&G에 성분 공개를 요청했고, P&G는 이번 주 안에 홈페이지에 공개하겠다고 답했습니다. 성분이 공개돼도 유해성 여부 검증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입니다. 비단 가습기 살균제나 페브리즈 뿐 아닙니다. 많은 생활화학제품들이 유해성 검정은 고사하고 성분조차 공개되지 않을 정도 정부의 관리체계엔 구멍이 숭숭 뚫려 있습니다.

윤영탁 기자입니다.

[기자]

페브리즈의 성분 중 '제4기 암모늄클로라이드'는 기존에도 지속적으로 유해성 논란이 있어 왔지만 제품엔 '미생물 억제제'로만 표기됐습니다.

정부가 유해화학물질에 포함시키지 않아 제조사 입장에선 공개 의무가 없었기 때문입니다.

사용할 경우 반드시 공개해야 할 성분은 환경부가 정한 유독물질 성분 870여 종, 발암물질 성분 120여 종 등으로 전체 화학물질의 5%도 안 됩니다.

제조사가 스스로 밝히지 않는 한 어떤 성분을 얼마만큼 썼는지 알 수 없기 때문에 생활화학제품의 모든 성분 공개를 의무화 해야 한다는 주장이 거셉니다.

그나마 탈취제는 정부가 가습기 살균제 사태 후속조치로 지난해부터 15개 제품군을 유해우려제품으로 지정해 유해성분을 표시하게 됐습니다.

에어컨 향균필터나 핫팩, 물티슈 등은 여기서도 빠져 있어 성분 공개의 근거가 전혀 없습니다.

소비자들이 불안이 시간이 흐를수록 걷잡을 수 없이 커지는 이유입니다.

환경부와 복지부 등 4개 부처로 관리 주체가 나뉜 것도 사각지대를 만든 원인으로 꼽힙니다.

관리 권한과 책임을 한 곳으로 모아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습니다.

관련기사

페브리즈도 '유해성' 논란…환경부, 성분 공개 요청 페브리즈에도 유해성 물질?…성분 표시도 전혀 없어 한국P&G "페브리즈 성분내역 투명하게 공개할 것"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