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대학졸업 유예생 등 취업준비생들에게 교육비·교통비 등의 활동보조를 위해 최장 6개월간 매달 50만원의 활동비를 지원한다.
또 청년활동지원사업 전후 청년들이 어떻게 달라졌는지 성과를 지표화한 '청년활력지수'를 개발한다.
서울시는 지난해 11월 발표한 20개 사업의 '2020 청년정책 기본계획'의 핵심사업인 '청년활동지원사업'의 대상과 선정기준, 지원범위와 내용 등 구체적인 사업계획을 확정했다고 11일 밝혔다.
시는 우선 사회참여 의지가 있는 미취업 청년들에게 최소 사회참여 활동비로 매월 50만원씩 최장 6개월까지 '현금'을 지급하기로 했다.
자격증 취득 등을 위한 학원수강비, 교재구입비, 시험등록비, 그룹스터디 운영비와 같이 청년들이 실질적으로 필요한 취·창업 준비 등 다양한 사회참여 활동에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취업을 했거나 중앙정부나 지자체에서 중복지원을 받는 등 자격상실시에는 지급이 중단된다.
지원대상은 서울에서 1년이상 거주중인 만 19~29세 미취업 청년 총 3000명이다. 당장 필요한 생활비를 벌어야 함에 따라 정부의 '취업성공패키지' 같은 직업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어려운 '장기 미취업', '저소득층' 청년을 우선 선발하기로 했다.
니트(NEET)청년, 졸업유예, 초단시간근로자 등 대학생도 취업자도 아닌 '사회 밖 청년'중 활동의지가 있는 청년들에게 지원한다는 당초 계획과 비교하면 기존에 시행중인 다른 청년정책의 사각지대를 보완하고 사회적약자에 대한 배려를 한층 강화했다는게 시의 설명이다.
시는 1차 정량평가(가구소득·부양가족·미취업기간 등 경제·사회적 조건)로 대상자를 선정한다. 2차로 이들의 지원신청에 대한 정성평가(사회활동참여의지·진로계획의 구체성·적절성 등)를 통해 최종 인원을 선발한다.
또 사회참여활동비를 지원하는 동시에 자발적 커뮤니티 지원, 정보제공과 활동현장 연계 같은 다양한 비금전적 지원을 병행하기로 했다. 구직활동을 포함한 다양한 사회참여활동을 촉진해 청년들의 사회진입 가능성을 높여나갈 방침이다.
참여자의 공통관심분야와 활동분야 등을 중심으로 30인 이내의 소그룹 대화모임, 팀빌딩, 정보활동장터 등 자발적인 커뮤니티를 지원한다. 고용지원센터와 일자리플러스센터, 자치구 취업지원센터와의 협력을 통해 진로상담, 구인정보 및 교육훈련 프로그램 등 현장감 있는 취업상담과 정보를 제공한다.
시는 비금전적 지원 프로그램의 운영과 관리를 맡을 민간전문기관을 다음달 모집해 선정할 계획이다. 6월 대상자를 공개모집하고 7월 사업을 본격 시작한다는 목표다.
시는 청년활동지원사업이 청년들이 양질의 일자리로 진입하는 징검다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6개월의 지원에서 끝나지 않고 참가자들을 위한 채용박람회와 사후교육, 참가 동기·선후배간 경험을 공유하는 홈커밍데이 등 다양한 사후 프로그램도 준비하고 있다.
구종원 서울시 청년정책담당관은 "청년활동지원사업은 청년들의 떨어진 자존감을 회복하고 활력을 높이는 게 궁극적인 목표"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시는 청년들의 객관적인 활동과 주관적 만족도를 조사해 사업 전후에 얼마나 변화됐는지 평가하는 '청년 활력지수'를 개발할 계획이다.
시는 또 청년수당 사업과 관련한 보건복지부와의 협의는 지난달 말 사전협의를 했으며 본협의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