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중 언론 '열악한 노동환경' 주목…싱하이밍 "한국기업 교훈 얻길"

입력 2024-06-25 19:22 수정 2024-06-25 22:45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앵커]

이번 화재로 다수의 중국인 희생자가 나왔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싱하이밍 주한중국대사가 곧장 현장을 찾았습니다. "한국 기업들이 뼈아픈 교훈을 얻길 바란다"는 입장문도 발표를 했는데 중국 언론들은 한국에서 일하는 자국민들의 노동 환경을 문제 삼고 나섰습니다.

김혜미 기자입니다.

[기자]

중국 주요 언론은 화성 화재 현장을 생중계하며 관련 소식을 자세히 전했습니다.

[중국 CCTV 기자 : 제가 지금 손에 들고 있는 게 이 공장에서 생산하는 리튬 배터리인데요. 리튬 배터리가 폭발적으로 연소하면서 큰 화재를 일으킨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중국 일간지 '신경보'는 이번 화재의 희생자 대부분이 조선족 30~40대 여성이라고 보도했습니다.

사고 당일 휴가라 화를 면했다는 한 여성 중국인 노동자는 인터뷰에서 "한국 최저임금인 시간당 9860원을 받았다"면서 "한 달 정도 일했지만, 소방 관련 교육이나 훈련을 받지 못했다"고 말했습니다.

중국 언론은 특히 한국의 제조업이 외국인 노동자에 많이 의존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중국 칸칸신원 보도 : 한국의 많은 공장에선 외국 노동자들 없이는 공장을 운영할 수 없다는 말까지 나옵니다.]

중국 관영 영자 신문 글로벌타임스는 "중국인, 특히 조선족이 한국에서 일하며 한국 경제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면서 하지만 "임금과 복지가 한국 노동자만큼 좋지 않은 경우가 많고, 정식 노동계약을 체결하지 않는다"고 지적했습니다.

싱하이밍 주한 중국대사도 어젯밤(24일) 사고 현장을 찾아 재발 방지를 촉구했습니다.

[싱하이밍/주한 중국대사 : 중국 정부에서도 큰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 한국 정부나 지방 정부와 잘 협력해서 선후 처리를 잘하라고 지시했습니다.]

중국대사관은 "한국 기업들이 뼈 아픈 교훈을 얻길 바란다"는 뼈 있는 입장문도 남겼습니다.

[영상디자인 황수비 / 영상자막 김영진]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