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정부 "사도광산 전시에 '강제' 단어 요구했지만 일본이 수용 안 해"

입력 2024-08-06 18:00 수정 2024-08-06 18:01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외교부가 조선인 강제징용의 현장인 일본 사도광산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하는 것을 일본 정부와 협상하는 과정에서 '강제'라는 단어가 들어간 전시물을 요구했으나 일본 측이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외교부가 오늘(6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이재정 의원(더불어민주당)에게 낸 답변서에 따르면 외교부는 "전시내용을 협의하는 과정에서 '강제'라는 단어가 들어간 일본의 과거 사료 및 전시 문안을 일본 측에 요구했으나 최종적으로 일본은 수용하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사도광산에서 약 2km 떨어진 아이카와 향토박물관에 전시된 조선인 노동자 관련 전시장 전경. 전시 제목은 '조선반도 출신자를 포함한 광산 노동자의 생활'이다. (사진제공 외교부)

사도광산에서 약 2km 떨어진 아이카와 향토박물관에 전시된 조선인 노동자 관련 전시장 전경. 전시 제목은 '조선반도 출신자를 포함한 광산 노동자의 생활'이다. (사진제공 외교부)


일본 측은 세계유산 등재가 결정된 이튿날인 지난달 28일, 사도섬 내 아이카와 향토박물관 안에 조선인 노동자 관련 전시를 개관했는데 이 전시에 우리 정부가 '강제(force to work)'라는 단어가 들어간 과거 사료나 전시 문안 등을 구체적으로 요구했었다는 사실을 처음 확인한 겁니다.

앞서 외교부 당국자는 일본 측과 전시 내용 협상 과정에서 "우리 측은 강제성이 더 드러나는 많은 내용 요구했으며 일본이 최종 수용한 것이 현재 전시 내용"이라고 설명한 바 있습니다. 협상 과정에서 우리 측이 '강제'라는 표현을 직접적으로 요구했다는 사실은 설명하지 않았습니다. 대신 현재 전시된 내용을 보면 '강제' 표현만 없을 뿐 내용상 '강제성'이 잘 드러난다는 취지로 설명했습니다.

사도광산의 세계유산 등재 직후 일본 요미우리 신문이 '강제노동'이라는 표현을 쓰지 않기로 한·일 간 사전 합의가 있었다고 보도한 데 대해서도 우리 외교부 측은 "사실 무근"이라는 입장만 밝혔습니다.

현재 전시장에는 “초기에는 조선총독부의 관여하에 '모집', '관 알선'이 순차적으로 시행됐고, 1944년 9월부터는 '징용'이 시행됐다"는 내용의 전시물이 설치돼 있습니다.

조선인 노동자들의 자신의 의사에 반해 강제로 동원됐다는 명시적 표현이 없고, 전시 설명에 일본 측 논리가 반영돼 있다는 지적이 나오면서 우리 정부가 저자세로 세계유산 등재에 합의해준 것 아니냐는 비판이 일었습니다.

거기에 더해 외교부가 협상 과정에서 요구한 '강제' 표현 전시를 일본 측이 받아들이지 않았다는 사실이 공개되면서 결과적으로 우리 정부가 밑지는 협상을 한 것이란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