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이번엔 국내에서 사도광산을 가장 오래 연구해 온 전문가를 만나서 더 자세한 이야기를 들어보겠습니다.
일제강제동원평화연구회 정혜경 대표를 백민경 기자가 만났습니다.
[기자]
정혜경 일제강제동원평화연구회 대표는 전시 공간 설치라는 구체적인 조치에 대해서는 한 발 나아갔다고 평가했습니다.
[정혜경/일제강제동원평화연구회 대표 : (조선인 숙소 중 한 곳에) 강제동원된 곳이라고 하는 설명이 담긴 게시판을 세우기로 해서 그런 구체적인 부분에서는 한 단계 진전이 있었다고 보고요.]
군함도로 불리는 하시마 탄광 등 2015년 메이지산업혁명 유산 등재 당시에는 '강제성 문구를 포함하겠다'는 한일 간 합의를 일본 정부가 바로 번복했기 때문입니다.
[정혜경/일제강제동원평화연구회 대표 : 그거는 약속을 잘 (안) 지킨 정도가 아니라 아예 약속을 어긴 거죠. 본회의장에선 강제성을 인정했지만 바로 돌아서서 기시다 당시 외상이 부정하고, 아베 총리가 부정을 하면서…]
다만 이번에도 '강제 동원'이라는 표현을 명시적으로 하지 않은 데 대해선 아쉬움을 나타냈습니다.
[정혜경/일제강제동원평화연구회 대표 : 일본이 2015년에 이미 세계인을 상대로 (강제성을 인정)했던 발언이기 때문에 그 발언은 존중돼야 하죠. 존중하지 않은 것은 매우 유감스러운 일입니다.]
정치권 반응은 엇갈렸습니다.
[김준형/조국혁신당 의원 : 역시나 강제동원 역사를 기록한다는 일본의 약속은 꼼수에 꼼수였습니다. 그리고 우리 정부는 이를 동조하고 방관했습니다.]
민주당 한민수 대변인도 "일본 정부가 강제성을 부정하는데도 윤석열 정부는 세계유산 등재에 동의했다"며 "역사를 망각한 정부"라고 비판했습니다.
반면 국민의힘 외교통일위원회 위원들은 "대승적인 한일관계 개선 노력이 일본으로 하여금 우리의 요구를 수용하게 만드는 결과로 이어졌다"고 긍정 평가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