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단독] "간섭 안 했다"더니…회수 그날, 조태용과 오간 전화 '최소 10차례'

입력 2024-06-27 19:11 수정 2024-06-27 21:52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앵커]

채 상병 사건 관련해 저희가 단독 취재한 내용으로 이어가겠습니다. 조태용 당시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은 지난해 국회에 나와 이 사건에 관여하지 않았다고 주장했습니다. 하지만 저희가 통화 기록을 분석해 보니, 바쁘게 통화한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채 상병 사건을 경찰에 보내고 바로 회수해 온 날에만 이종섭 당시 국방부 장관, 임기훈 당시 국방비서관, 또 유재은 국방부 법무관리관과 적어도 10번 통화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유선의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

[기자]

조태용 국가정보원장은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이던 지난해 국회에서 자신의 입장을 단호하게 말했습니다.

[조태용/국가안보실장 (2023년 8월 / 국회) : (채 상병) 조사에 관한 사항에 대해서는 안보실이 디테일을 가지고 챙기거나 간섭하는 것은 안보실이 할 일이 아니라고 저는 굳게 생각합니다.]

그런데 해병대수사단이 경찰로 넘긴 사건을 군검찰이 회수해 온 날 조 원장은 누구보다 바쁘게 통화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사건이 경찰로 넘어간 사실이 알려진 뒤 임기훈 당시 국방비서관에게 전화를 받았습니다.

20분 뒤에는 이종섭 당시 국방부 장관에게 문자를 보냈고 4분 뒤엔 직접 전화했습니다.

이 전화를 끊자마자 임 전 비서관에게 전화했는데, 이 때부터 36분 동안 임 전 비서관에게 5번 전화했습니다.

특히 낮 12시 7분, 윤석열 대통령이 이 전 장관에게 전화한 그 순간에도 임 전 비서관에게 전화를 했습니다.

임 전 비서관은 이 때부터 이시원 당시 공직기강비서관과 통화하기 시작하는데, 4차례 통화하고 한 번 문자를 주고받은 뒤 윤석열 대통령에게 전화를 받았습니다.

조 원장은 '02-800'으로 시작하는 안보실장실 전화로 유재은 국방부 법무관리관에게 전화한 직후에도 임 전 비서관과 통화했습니다.

이렇게 긴밀하게 소통했던 조 원장과 임 전 비서관은 지난해 국회에선 앞뒤가 안 맞는 말을 했습니다.

[조태용/국가안보실장 (2023년 8월 / 국회) : (제가 이첩 사실을) 파악했으면 아마 국방비서관한테 들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김병주/더불어민주당 의원 (2023년 / 8월) : 국방비서관은 그 때 누구한테 보고했습니까?]

[임기훈/국방비서관 (2023년 / 8월) : 이첩 같은 게 저는 언론을 통해서 봤던 것으로 기억납니다. 그것 관련해서 특별히 제가 보고받은 바는 없고요.]

[김병주/더불어민주당 의원 (2023년 / 8월) : 지금 실장님은 국방비서관한테 보고받았다는데 언론 보고를 했다는겁니까? 참…]

임 전 비서관과 임종득 당시 국가안보실 2차장에 이어 조 원장의 통화기록까지 무더기로 나오면서, 당시 국가안보실 차원에서 사건에 관여했던 건 아닌지 의문이 커지고 있습니다.

JTBC는 조 원장에게 관련 내용과 입장을 확인하기 위해 여러 차례 연락했지만 받지 않았습니다.

[영상디자인 곽세미 송민지 / 영상자막 김영진]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