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강제노역 숨긴 일본 사도광산…세계유산 등재 일단 '보류'

입력 2024-06-07 08:23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앵커]

유네스코 자문기구가 일본 사도광산의 세계유산 등재 신청을 '보류' 권고했습니다. 한국 정부가 요구해 온 '조선인 강제노역'의 역사를 반영하도록 요구한 것으로 풀이되는데요. 다음 달 최종 결정을 앞뒀는데, 한일 간 치열한 외교전이 예상됩니다.

김서연 기자입니다.

[기자]

일본 사도광산의 세계유산 등재 여부와 관련해 유네스코 자문기구인 이코모스(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가 보류를 권고했습니다.

현지시간 6일 일본 문화청은 이코모스가 사도광산에 대한 추가 자료 제출을 요구했다고 밝혔습니다.

통상 이코모스는 세계유산 심사 대상에 대해 등재, 보류, 반려, 불가 등 4가지 중 하나를 권고합니다.

보류된 대상에 대해 자료를 보완할 경우 추후 세계유산으로 등재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사도광산은 에도 시대 금광으로 유명했는데, 태평양전쟁이 발발한 뒤로는 전쟁 물자를 확보하기 위한 광산으로 이용됐습니다.

특히 일제강점기 조선인 2천여 명이 이곳에서 강제노역했다는 역사도 기록돼 있습니다.

일본 정부는 사도광산의 등재 대상 시기를 16세기에서 19세기 중반으로 한정하면서, 당시 수작업으로 세계 최대의 금 산출량을 자랑했다는 점을 내세웠습니다.

조선인 강제동원 역사와는 무관하다는 입장입니다.

[모리야마 마사히토 / 일본 문부과학상]
"(에도 시대) 손으로 직접 채굴했다는 점이 핵심이니까요. 한국이 주장하는 강제노동은 메이지 시대 이후의 이야기입니다."

사도광산의 등재 여부는 오는 7월 말 인도에서 열리는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최종 결정될 전망입니다.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