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영일만 석유 탐사' 속도전…"5번 안에 성공할 것" 연말 시추 계획

입력 2024-06-04 18:57 수정 2024-06-05 11:54

'대왕고래' 프로젝트, 이르면 11월 첫 시추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대왕고래' 프로젝트, 이르면 11월 첫 시추

[앵커]

윤석열 대통령이 나서서 어제(2일) 갑자기 발표한 포항 영일만 석유 탐사와 관련해 정부가 속도전에 돌입한 모양새입니다. 일단 오늘 '대왕고래'라는 프로젝트 이름과 함께 연말부터 실제 시추탐사에 나선다는 계획이 공개됐습니다. 또 이미 한 달 전 노르웨이 업체와 하루 배 사용료만 6억 5천만원에 달하는 계약을 맺었단 사실 역시 알려졌습니다. 정부에서는 어제 발표보다 한 발 더 나아가 대통령이 언급한 140억 배럴보다 더 많이 묻혀 있을 수 있다. 이렇게 기대감을 키우는 목소리까지 나오고 있는데 이런 정부를 바라보는 국민으로선 여전히 궁금증 한 점이 많은 상황입니다.

먼저 정아람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정부는 포항 영일만 심해, 석유와 가스가 쏟아질 걸로 보이는 후보지에 '대왕고래'라는 프로젝트 이름을 붙였습니다.

첫 시추는 이르면 오는 11월 시작될 걸로 보입니다.

대통령이 직접 나서 개발 계획을 발표한 지 하루 만에 후속 작업은 본격화하고 있습니다.

시추선을 투입할 노르웨이 유전 개발업체 '시드릴'과는 이미 한달 전 계약을 맺었습니다.

삼성중공업이 건조한 시추선 '웨스트카펠라'는 하루 배 사용료만 6억5000만원에 달합니다.

시추선은 약 40일 한국에 머무는데 계약규모는 총 3200만달러, 우리돈 440억원 정도입니다.

석유공사는 또 탐사선과 잠수정, 헬기 등 장비와 인력 확보를 위한 입찰에 돌입했습니다.

탐사 시추 성공률 20%를 언급한 정부는 "시추 시도 다섯 번 안에 성공할 거"라고 자신감을 내비쳤습니다.

[최남호/산업통상자원부 2차관 : (시추) 다섯 번 하기 전에 나올 거라고 생각한 거는 지질 구조 특성이나 성공률이나 그다음에 매장량이나 그 전에 나왔던 여러가지 징후들을 보면 분명히 성공할 가능성이 높겠다…]

하지만 시추에 성공하더라도 본격 생산까진 10년 이상 남은 만큼 성급한 기대감은 독이 될 수 있단 비판도 있습니다.

[신현돈/인하대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 시추가 진행되면서 그 결과를 차분히 지켜보는 게 합당한 거고 지금 현재 상황에서는 실패, 성공을 말하기에는 안 맞는 시기다.]

시추 결과는 내년 상반기에야 윤곽이 드러날 걸로 보입니다.

[취재지원 손은서]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