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정부 "전공의 복귀 여부 파악하라"…병원 측 "왜 책임 떠넘기나"

입력 2024-05-27 19:13 수정 2024-05-27 21:11

의대 교수들 "전공의 거의 복귀 안 할 듯"
교육부 '의대 휴학 강요' 3건 수사 의뢰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의대 교수들 "전공의 거의 복귀 안 할 듯"
교육부 '의대 휴학 강요' 3건 수사 의뢰

[앵커]

정부가 내년도 의대 증원을 확정했지만, 의료계와의 갈등은 여전하고 전공의들 빈 자리도 그대로입니다. 정부는 일선 병원에 전공의들을 상대로 복귀 여부를 확인해달라고 요구했는데, 현장에서는 이걸 왜 병원에 떠넘기느냐는 반발이 나왔습니다.

이예원 기자입니다.

[기자]

정부는 오늘(27일)도 전공의들을 향해 복귀를 서두르라고 했습니다.

[전병왕/보건복지부 보건의료정책실장 : 가장 늦다고 생각할 때가 가장 이르다고, 빠르다고. 정부가 공문을 보내서 수련병원의 원장이나 진료과장이 전공의 개인 복귀 의사를 개별적으로 묻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29일까지 결과를 제출하라"고 했습니다.

하지만 의료계는 당장 현실적이지 않다는 반응입니다.

빅5 병원 관계자는 "병원에서 보내는 메일은 읽지도 않는 전공의들이 요즘 같은 시기에 전화를 받겠느냐"며 "외래와 수술, 당직까지 서는 교수들에게 면담까지 맡기는 건 불가능"이라고 했습니다.

또다른 빅5 병원에서도 "문제를 풀 책임을 왜 병원에 돌리느냐"는 불만이 나왔습니다.

전공의의 복귀 움직임도 거의 없습니다.

한 의대 교수는 "병원장 때문에 나간 것도 아닌데, 다시 들어올 이유가 되겠느냐"며 정부의 명분 쌓기에 불과하다고 했습니다.

하지만 복지부 입장은 강경합니다.

"미복귀 의사가 진의인지, 부당한 압력에 의해 복귀하지 못하는 부분 등을 파악해 향후 조치할 것"이라고 했습니다.

이와 함께 교육부는 의대 3곳을 경찰에 수사 의뢰했습니다.

일부 의대 학생들이 특정 장소에 학생들을 모아놓고 집단 휴학원을 강요하거나, 동영상 강의를 수강하지 않은 사실을 공개 인증하라고 압박했다고 했습니다.

상황이 더 악화되자 의료계는 국민을 직접 상대하겠다는 계획입니다.

[최안나/대한의사협회 총무이사 : 30일 밤에 전국 단위의 촛불집회 합니다. 대형 병원이 무너지기 시작하면 일어날 사태에 대해서 국민들과 함께 소통하는 자리…]

정부는 "개혁에는 갈등이 따른다"며 계획대로 진행하겠다고 했습니다.

[영상디자인 홍빛누리]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