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27년 만에 의대 증원 쐐기…정부, 각 병원에 '전공의 상담' 요구

입력 2024-05-24 19:41

1509명 더 뽑아 의대정원 4567명
5월 말 모집요강 발표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1509명 더 뽑아 의대정원 4567명
5월 말 모집요강 발표

[앵커]

그동안 번번이 무산됐던 의대 증원이 오늘(24일)로 확정됐습니다. 27년 만에 1509명이 늘어나게 됐습니다. 문제는 전공의와 의대생들이 돌아오지 않으면서 당장 내년부터 의사 수급에 큰 차질이 빚어질 것으로 예상된다는 겁니다.

황예린 기자입니다.

[기자]

한국대학교육협의회는 오늘 의대 정원을 1509명으로 늘리는 안을 확정했습니다.

[오덕성/대입전형위원회 위원장 : (각 대학이) 제안한 내용이 타당하다고 생각해서 학부형 대표, 교육감들, 총장님들이 전원 동의를 해서 마무리했습니다.]

40개 의대의 정원은 총 4567명이 됩니다.

각 대학이 5월 말 모집요강을 발표하면 수험생과 학부모는 이에 맞춰 본격적인 입시 준비에 들어갑니다.

의료계가 주장하는 증원 백지화는 사실상 어려워집니다.

[박민수/보건복지부 제2차관 : 5월이 지나면 확정이 돼서 되돌릴 수도 없는 상황이 됩니다. 근무지로 조속히 복귀하시기 바랍니다. 그것이 문제를 해결하는 시작점입니다.]

하지만 전공의와 의대생은 여전히 돌아올 기미가 없습니다.

[최창민/전국의대교수비대위원장 : 정부의 태도가 변화가 없으니 전공의, 학생들은 의료 현장에 돌아올 수가 없습니다. 의료 수준의 퇴보를 목전에 두고 있습니다.]

당장 내년 초부터 의사 수급에 큰 차질이 빚어집니다.

먼저 현재 본과 4학년생이 수업 일수 부족으로 의사 국가시험을 보지 못한다면 3000여명의 신규 의사 상당수가 나오지 못할 수 있습니다.

당장 수련병원에서 전문의를 도우며 환자를 돌볼 인턴 전공의가 부족하게 되는 겁니다.

또 고연차 전공의가 수련 기간을 못 채워 전문의 시험을 보지 못하면, 단독으로 수술을 집도할 수 있는 2900여명에 가까운 전문의가 배출되지 못합니다.

특히 소아청소년과, 산부인과, 외과 등 필수의료 전문의 수는 더 부족해질 수밖에 없습니다.

이같은 의료 공백은 가뜩이나 의사를 채용하기 힘든 지역 공공의료원부터 더 어렵게 만들 수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정부는 오늘부터 100개 수련병원에 전공의의 복귀 의사를 직접 확인하라고 요구했습니다.

미복귀 전공의를 대상으로 처벌이 불가피하다고 해왔던 만큼, 압박에 나서는 수순으로 풀이됩니다.

[영상자막 김형건]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