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훌쩍 큰 종달이 '그물 고통' 커져…"이번엔 구조 성공해야"

입력 2024-05-23 20:28 수정 2024-05-23 20:40

구조 늦어지면 기형 우려…6월 재시도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구조 늦어지면 기형 우려…6월 재시도

[앵커]

지난해 11월 새끼 남방큰돌고래가 그물에 몸이 감긴 상태로 발견됐습니다. 종달리 해변에서 발견돼서 '종달이'란 이름을 붙었는데, 갈수록 고통이 심해지는 상황이라 구조가 시급하다고 합니다.

임예은 기자입니다.

[기자]

애써 꼬리를 흔들지만, 좀처럼 앞으로 나아가지 못합니다.

같은 자리에서 빙빙 돌 뿐입니다.

꼬리 쪽이 물속으로 가라앉아 있습니다.

잔뜩 엉킨 폐그물과 낚싯줄 무게 때문입니다.

이 남방큰돌고래, 지난해 11월 처음 발견된 '종달이'입니다.

돌고래 종달이가 발견된 바닷가입니다.

근처에는 양식장이 있는데요.

종달이가 이곳을 찾을 수밖에 없는 이유가 있습니다.

살기 위해서입니다.

[오승목/다큐제주 감독 : (사냥을) 혼자 해야 하는 경우가 많잖아요. 양어장이라든지 이런 쪽에 보면 이제 먹이사슬이 다양해요.]

처음 발견됐을 때처럼 어미 돌고래는 여전히 주변을 맴돌고 있습니다.

무리에 끼지 못하는 새끼를 걱정해서입니다.

지난 1월 종달이 몸을 죄고 있는 그물 일부를 잘라냈습니다.

잠깐 홀가분했던 몸은 이제 더 불편해졌습니다.

시간이 흘러 종달이가 커질수록 그물은 꼬리를 더 옥죄어 왔습니다.

덜 아프기 위해 덜 움직였습니다.

그러면서 움직임이 확연히 줄었습니다.

시간이 더 가면 꼬리뼈가 휘고 패여나갈 수 있습니다.

[오승목/다큐제주 감독 : 성장을 하려고 했는데 위에서 뭔가 꽉 누르고 있으면 기형이 생길 수 있잖아요.]

6월 말까지는 그물과 낚싯줄을 제거하는 게 목표입니다.

그물과 함께 묶여버린 종달이 자유를 되찾아줘야 합니다.

[화면제공 다큐제주·제주대학교]
광고

JTBC 핫클릭